배터리 교환형 대중교통 체계 구축이 전기차 산업 확산 열쇠

 배터리를 교환하는 버스나 택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전기차 산업 확산의 열쇠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25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국토해양부 주최로 열린 ‘전기자동차 기반 대중교통체계 구축 활성화 정책 토론회’ 기조 발표에 나선 김원규 전기자동차 교통안전 융합체계 연구단장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정책과 기술로는 정부의 2020년 전기차 100만대 보급 목표 달성이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배터리 교환형 버스와 택시를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전기차 시장 주요 기술적 이슈는 비싼 배터리 가격과 긴 충전 시간, 1회 충전시 주행 가능 거리 제약 등이다. 실제로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를 결정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고려 요소라는 것이다.

 김 단장은 “향후 차량 구매 의향을 지닌 국내 540명을 대상으로 지난 7월 진행한 설문을 분석, 수요예측한 결과 오는 2020년 전기차 보급 수준은 60만대에 그칠 것이라는 결론이 나왔다”며 “전기차 가격과 주행 거리, 배터리 개발 수준에 따른 유지비용 등을 주요 변인으로 한 소비자 조사 결과여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지난해 지경부·환경부·국토부·녹색성장위는 공동으로 ‘그린카 양산 로드맵’을 발표하고 2020년 전기차 100만대 보급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결국 전기차량 가격 인하를 위한 배터리 비용 인하, 충전시간 획기적 단축이 필요한데 관련 기술이 개발되기까지 교환형 전기자동차 활성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배터리를 함께 사용하는 공용제도를 도입해 버스와 택시 등 대중교통 체계에 적용하면 배터리 임대업 등 새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전기자동차 교통안전 융합체계 연구단은 불과 몇 분만에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개발 중이다.

 김 단장은 “현재 친환경 CNG 버스 인프라 구축에 투자되는 예산을 배터리 교환형 전기차 인프라로 전환하면 충분히 상용화가 가능하다”며 “버스 인프라를 먼저 구축한 후 전기 택시 및 전기 승용차 교통 인프라 시설로 확산하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책 토론회에서는 교환형 배터리 전 세계 1위 기업인 미국 베터플레이스가 직접 참석해 자사가 이스라엘·유럽·미국 지역에 구축한 배터리 교환형 인프라를 직접 소개해 관심을 끌었다.

 김민수기자 mimo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