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말한다]구글, 페이스북도 실명제 찬성?

 구글은 작년 자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구글플러스 회원 중 실명을 쓰지 않은 사용자의 계정을 일시정지해 논란이 됐다.

 구글플러스에선 자신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이름으로 활동해야 한다는 자사 서비스 정책에 어긋난다는 이유다. 사용자들은 이에 반발, 구글플러스 탈퇴 행렬로 이어지기도 했다.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도 작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적어도 SNS에선 반드시 실명을 써야 한다”며 “인터넷에서 악당들을 찾아내고 그들이 쓴 글을 끌어내릴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명 기반으로 활동할 때 인터넷 세상이 더 나아질 것이란 의견이다.

 슈미트 회장은 과거에도 “만일 누구에게도 알리고 싶지 않은 것이 있다면, 처음부터 알리지 말아야 한다”며 인터넷을 쓰는 이상 자신이 노출되는 것은 불가피하다는 취지로 말한 바 있다.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창업자 누나이자 임원이었던 랜디 저커버그도 “사람들이 익명 뒤에 숨어서 그들이 원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다 말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 같다”며 “인터넷에서 실명 을 사용하면 사람들이 더욱 바르게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실명제란 SNS를 사용하는 사람이 프로필에 기재된 그 사람임을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친구들이 신원을 파악할 수 없는 가명이나 엉터리 신원 뒤에 숨어 활동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강제적 주민등록번호 확인과는 다른 의미다.

 SNS가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대로 기능하게 하기 위한 기업별 정책이라 할 수 있다. 실명 기반의 믿을 수 있는 네트워크를 만들겠다는 의지다.

 이처럼 SNS 확대와 함께 인터넷 실명제를 법제화하지 않아도 실질적으로 실명제와 같은 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실제 지인과의 관계가 중요한 SNS에서 익명으로 활동하는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SNS 프로필이나 소셜 댓글 서비스 등은 실명 여부에 관계없이 네티즌 개인의 활동을 기록으로 남기고 친구들이 한눈에 볼 수 있게 해 준다. 사회적 기준에 따라 일관성 있게 행동할 것을 압박하는 셈이다. 이는 검색이나 타깃 광고 정확도를 높이려는 기업 이해 관계와도 부합한다.

한세희기자 h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