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스마트TV, 방통통신사업자와 협력강화의 의미와 전망

삼성전자의 방송통신사업자 연계 강화는 차세대 TV 생태계 주도권 확보 차원으로 분석된다.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다수 시청자는 유료방송(IPTV·케이블·위성)에 이미 가입해 있다. 스마트TV라는 디바이스로 서비스사업자와 경쟁만 하기보다 협업을 바탕으로 콘텐츠와 서비스를 늘리는 게 더 유리할 수 있다. 이미 방송통신 서비스에 가입한 이용자들을 삼성 TV의 구매자로 만들면서 삼성 스마트TV 생태계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도 의미 있는 작업이다.

◇왜, 협력하나=삼성 스마트TV는 인터넷 검색과 앱을 통한 서비스에 특화됐다. 하지만 TV는 기본적으로 영상 콘텐츠가 중요하다. 방통서비스사업자와 연계는 콘텐츠 다양성을 확보할 가장 빠른 수단이다.

방통사업자들도 최고 TV 제조사인 삼성과의 협업으로 얻을 것이 많다. 삼성이 갖춰놓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자사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별도 셋톱박스를 주지 않아도 된다.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삼성은 스마트TV 생태계에 구글이나 애플이 들어오기 전에 국내외 주요 서비스사업자와 연계로 선점 효과를 노린다. 서비스사업자와 협력은 경쟁자들에 진입장벽을 칠 수단도 된다.

◇경쟁보다 협력으로 `윈윈`=통신사 IPTV와 제조사 스마트TV는 서비스에서 유사한 부분도 있다. 이 때문에 서로 `경쟁자`라는 표현도 나온다.

제조사와 서비스사업자 간 협업은 배척하면서 리스크를 떠안기보다 서로 이익을 공유하자는 모델이다. 공동 마케팅도 가능하다. KT는 최근 올레TV TV광고 `프로야구 편파중계` 편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등장시켰다. 올 초 스마트TV 트래픽으로 대립각을 세웠던 KT와 삼성 간 변화의 조짐이다. 삼성 스마트TV 가입자가 올레 TV에 가입할 시 할인 혜택을 주는 등의 프로모션도 충분히 나올 시나리오다.

두 회사는 최근 스마트 기능을 탑재한 셋톱박스 공급계역을 체결했다. 향후 삼성 스마트TV 허브와 KT의 IPTV를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 모델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삼성은 여러 채널로 케이블방송 서비스사업자(SO)와 콘텐츠제공자(PP)의 협력에도 공을 들인다.

업계 관계자는 “TV 제조사와 방송서비스사업자 가운데 누가 주도권을 갖는지는 크게 봐서 별 의미가 없다”며 “주도권보다 적당한 수준의 협력으로 서로 이익을 키우는 모델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사업자 대응은=LG전자는 차세대 TV 키워드로 `스마트`가 아닌 `3D`를 사용한다. 같은 맥락에서 제휴 역시 서비스사업자가 아니라 영상물 제공자들에 집중해왔다. 그런데 LG유플러스가 그룹 관계사다. 둘 사이 협력은 언제든 가능하다는 평가다.

최근 스마트셋톱박스를 내놓은 다음 역시 케이블TV 및 IPTV 사업자와의 협력에 적극적이다. 다음 역시 `디지털케이블TV쇼`에 참가해 여러 협력 가능성을 타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구글은 2010년 셋톱박스 형태 구글TV를 선보였지만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무엇보다 콘텐츠 확보에 실패한 것이 컸다. 유료방송 사업자들은 구글의 영역을 뛰어넘는 사업 확장에 경계심리가 강했다. 차세대 TV에 관심이 많은 글로벌업체는 구글이나 애플이다. 이들도 TV 사업 확대를 위해 세트와 운용체계(OS) 경쟁력 확보는 물론이고 주요 서비스사업자와의 연계에도 많은 공을 들일 것으로 예상된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