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과학자]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로봇공학전공교수

“오는 6월쯤이면 지난해 발표한 3차원 다공성 마이크로 로봇의 업그레이드된 연구 성과가 나올 것 같습니다. 앞으로 생체에 최적화된 재료를 활용한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 개발에 속도를 내겠습니다.”

최홍수 교수
최홍수 교수

최홍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몸속을 다니며 원하는 부위에 치료 약물과 세포를 전달하는 마이크로 로봇 분야 선두주자다. 미국 워싱턴주립대에서 미세기전시스템(MEMS:Micro Electro Mechnical system)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박사후 연구원과 한국기계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10년 DGIST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DGIST에 부임한 뒤 줄곧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 연구에 매진, 연구를 수행한지 3년만인 지난해 5월 170㎛, 폭 75㎛, 높이 75㎛ 크기의 3차원 다공성 마이크로 로봇 개발에 성공했다. 이 같은 연구성과를 인정해 학교에서는 지난해 말 마이크로연구센터를 설립, 3년간 5억 500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개발한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은 자성물질(니켈)과 생체적합성 재료(티타늄)를 코팅한 3차원 구조물 형태입니다. 이 로봇은 치료 목적의 세포와 약물을 몸속 원하는 부위에 전달할 수 있습니다.”

최 교수는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은 기존 진단 및 치료방식에 비해 국소부위 접근이 쉬워 세계적으로 연구가 활발하지만 마이크로 크기의 구조물을 만들기기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특히 기존에 개발된 마이크로 로봇은 일차원 구조물을 스프링처럼 말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제작하기 어렵다. 로봇의 크기도 수 밀리미터 이상으로 정밀 제어가 힘들었다.

최 교수가 개발한 마이크로 로봇은 3차원 레이저 리소그래피 시스템을 이용, 광경화성 폴리머를 선택적으로 노출시켜 구조물의 패턴을 마이크로 로봇의 미션에 따라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는 멤스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됐다. 그는 세계 최초로 3차원 다공성 마이크로 로봇에 세포 및 약물을 3차원으로 배양, 원격 제어하는데까지 성공했다.

“치료 목적을 달성한 로봇이 몸속에서 녹아 없어지거나 생체에 최적화된 재료를 활용, 몸속에 머물러도 되는 형태로 추가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 교수는 “6월쯤이면 한 단계 앞선 3차원 다공성 마이크로 로봇의 연구성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마이크로 로봇이 실제 인체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의료영상분야 등 융합연구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 교수는 마이크로 로봇 이외에도 인공청각시스템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압전재료를 활용한 멤스 디바이스 개발도 한창이다.

대구=정재훈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