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장애인 디지털격차 해소, 기업 경영에도 도움

정부가 장애인과 고령자가 가전제품을 더욱 편하게 쓸 수 있도록 표준화를 추진한다. 웹 접근성에 이어 가전 접근성도 높이겠다는 것이다. 그간 웹 접근성에 사회적 관심이 높았지만 가전은 후순위였다. 국내 장애인과 고령자가 2010년 말 기준 798만명이다. 이들의 불편을 크게 해소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가전 접근성 표준은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준이다. 이를테면 냉장고의 문이나 특정용도 칸의 열고 닫는 위치나 크기, 높이 등을 표준화 하는 것이다. 단계적으로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기능과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안내도 담을 예정이다.

모든 생활영역에서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금지한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장차법)’을 제정한 지 7년이 지났다. 2010년 국내 처음으로 장애인을 위한 CD·ATM 표준을 만든 것도 4년이 흘렀다. 시각장애인과 저시력인을 위한 근접센서 설치, 화면과 안내음성, 금융거래 지원 범위 등도 표준화 해 상당부분 성과를 냈다. 비장애인이 과거에 비해 장애인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되면서 그 불편을 해소하려 노력한 결과다.

그렇지만 장애인들은 여전히 많은 분야에서 생활의 불편을 겪는다. 금융이 그렇다. 은행 창구를 가지 않아도 모든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비대면 거래에서 불편을 겪는다. 점자카드, 점자통장 표준화가 절실하다. PC나 스마트폰 기반의 전자금융거래 시스템은 장애인에게 여전히 높은 장벽이다.

우리 사회는 급속도로 디지털화 한다. 장애인과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는 사회적 과제다. 특히 스마트 세상은 또 다른 거대 장벽을 만든다. 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세심한 편익 증진 대책을 끊임없이 수립해야 한다.

이러한 시도가 디지털 제조나 서비스 업체에는 새 경영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바라봐야 한다. 무엇보다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높일 계기로 삼는 것이 현명하다. 장애인과 날로 느는 고령층은 경영 측면에서도 기업에게 매우 고마운 고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