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과천전산센터 화재 여파, 다시 불붙은 `벙커형 제3 백업센터` 도입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벙커형 제3 백업센터 해외 구축 현황

삼성SDS 과천전산센터 화재로 삼성 금융계열사의 서비스 일부가 지연되자, ‘금융권 공동 제3 백업센터’ 구축을 앞당겨 실행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금융당국도 관련 지적을 받아들여 이에 대한 제반 사항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기로 했다.

22일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정부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제3 백업센터 구축을 금융사에 강제화할 순 없지만 최근 필요성이 대두된 만큼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실행방안을 조속히 도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제3 백업센터는 기존 재해복구센터(제2 백업센터) 이외에 사이버 공격과 각종 재난에 대비해 주요 금융정보를 저장, 보관하는 금융권 공동 백업전용센터로, 지하 벙커 형태로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전산 보안강화 대책 일환으로 벙커형 제3 백업센터 구축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하지만 예산 확보 문제와 설치 지역, 구축 형태 등을 놓고 의견이 엇갈리면서 세부 실행방안은 도출하지 못했다.

현 체계로는 금융전산시스템을 파괴하는 사이버 공격이 본격 개시될 경우, 금융정보가 영구 손실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 2011년과 2013년에 주요 은행의 데이터베이스(DB)를 삭제하려는 공격이 있었다.

주요 시중은행의 주전산센터와 재해복구센터는 대부분 서울과 경기 지역에 몰려 있다. 총 13개에 달하며 모두 지상에 위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삼성SDS 화재도 이 같은 지리적, 물리적 한계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 1월 구성한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TF를 주축으로 월 1회씩 운영회의를 갖고 제3 백업센터 구축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이 TF에는 대형은행과 카드, 증권, 보험사 등 20여개 금융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문제는 막대한 예산이다. 금융결제원이 관리 중인 금융공동망 이용 분담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실무 추진은 금융결제원이 맡고, TF 운용총괄은 한국은행 산하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가 맡는 모양새다.

금융정보화추진협의회 관계자는 “약 20여개 금융사와 세부 운영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정부 주도로 할지 민간이 자율적으로 참여 할지 등에 대해 의견수렴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TF에 참여한 상당수 금융사는 제3 백업센터는 실시간 데이터를 보관하는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재난 발생시 메인 장비를 재해복구가 시급한 금융사부터 우선 이용할 수 있는 ‘할당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예를 들어, 긴급 상황 발생시 대형은행 A사의 재해복구(DR)시스템을 다른 금융사가 계약을 맺은 통신사업자에게 지정받아 우선 이용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지상으로만 연결이 가능한 통신장비 등을 어떻게 지하로 연결시킬 것인지도 구체적인 방안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한 대형은행 관계자는 “대형 금융사의 경우 제2 백업센터를 대부분 갖추고 있어, 제3 백업센터에 투자하는게 쉽지많은 않다”며 “다만 금융권 공동의 DR시스템을 갖추자는데 이견이 없다”고 설명했다.

예산 부담이 있지만 운영의 묘를 살릴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이 수립되면 급물살을 탈 수도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표]벙커형 제3백업센터 해외 구축 현황
(자료: 금융위원회)

삼성SDS 과천전산센터 화재 여파, 다시 불붙은 `벙커형 제3 백업센터` 도입


길재식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