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우주 물체 대응 대책 수립…운석 등 대재앙 대비

운석, 우주 쓰레기 등 우주 물체가 떨어지는 재난에 대비해 범부처 차원의 대책이 수립된다. 우주위험대비계획은 갑작스럽게 재난이 닥쳤을 때 신속한 구조업무 수행을 위해서 마련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우주 물체가 국내로 떨어질 때를 대비해 미래부, 안전행정부, 기상청, 우주전파센터 등 범부처 차원의 우주위험대비계획을 다음 달 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우주위험대비계획은 △우주 사고에 대비한 범부처 역할 정립 △우주위험대책본부 수립 △우주환경감시기관 지정 등이 골자다.

그동안 우주 관련 기관에서 각각 우주 물체를 다룬 것과 달리 우주 물체 유입에 대비해 여러 부처가 힘을 모은다. 우주 사고에 대비한 매뉴얼을 만들고 부처 간 역할을 정립한다. 보고체계 또한 일원화한다. 이를 위해 우주위험대책본부가 마련된다.

또 전문적으로 우주환경을 감시, 추적하는 우주환경감시기관도 만들어진다. 우주환경감시기관은 관측 장비를 이용해 우리나라 상공에 있는 우주물체와 우리나라 인공위성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 우주물체를 감시하는 역할을 맡을 계획이다.

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소행성, 위성 등 자연물체가 하루에 지구로 떨어지는 양은 100톤에 달한다. 인공위성, 인공위성 파편 등 인공물체는 1년에 100톤 정도 지구로 유입된다. 인공위성이 늘어나면서 우주쓰레기도 늘고 있다. 우주에 떠다니는 우주쓰레기는 10cm 이상이 2만여개, 1cm 이하는 60만개로 추정된다. 2012년 발사된 인공위성은 96개에서 2013년 154개로 약 60% 증가했다. 인공위성이 우주 물체와 부딪치면 고장 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감시체계가 필요하다.

실제로 러시아에서는 지난해 2월 우랄산맥 인근 첼랴빈스크 일대에 운석우가 떨어져 120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박장현 천문연 센터장은 “러시아에서도 소행성 때문에 많은 이들이 피해를 입었다”며 “현재 우주 감시를 일부 기관이 하고 있지만 국가 제도적 체계와 장비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위성이 늘어나는 만큼 우주물체가 지구로 떨어질 가능성에 대해 국가적 차원의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래부는 다음 주 우주위험대비계획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립하기 위해 워크숍을 연 뒤 우주위험대비계획을 보완, 수정할 계획이다. 다음 달 안에 관계부처들과 보완된 우주위험대비계획을 논의한 후 발표할 예정이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