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10 시스템반도체 전환, 승부수 띄운 SK하이닉스…향후 풀어야 할 난제는?

SK하이닉스는 메모리 시장의 강자지만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는 후발 업체에 불과하다.

삼성전자도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자리 잡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고, 여전히 사업을 키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M10을 시스템반도체 팹으로 전환하면서 승부수를 띄운 SK하이닉스의 행보에 반도체 업계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M10 시스템반도체 전환, 승부수 띄운 SK하이닉스…향후 풀어야 할 난제는?

SK하이닉스가 시스템반도체 시장에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결국 삼성전자처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개발에 나서거나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장에 뛰어들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시스템반도체는 메모리의 3.2배 수준에 이르는 거대한 시장이지만 AP·CMOS이미지센서(CIS)·전력반도체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다.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승부를 보려면 AP·파운드리처럼 큰 시장이 적합하다. 특히 파운드리 시장은 D램보다 10%, 낸드 플래시 시장보다 30% 이상 규모가 크다.

20나노미터(㎚) 이하 미세공정 기술만 확보한다면 SK하이닉스는 AP뿐 아니라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얼마든지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SK하이닉스가 당장 해결해야 할 문제는 인력 및 지식재산(IP) 부족이다. 규모의 경제 효과가 중요한 메모리와 달리 시스템반도체는 상당한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하다. 특히 국내에는 시스템반도체 설계를 담당할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

삼성전자-글로벌파운드리스 연합처럼 시스템반도체 팹 플랫폼을 통합해 단기간에 IP를 끌어모으는 것도 방법이다. 다만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글로벌파운드리스와 손잡기 위해 제시할 수 있는 카드가 필요하다.

반도체 업계 한 전문가는 “SK하이닉스가 인내심을 갖고 설계 인력을 영입하는 한편 인수합병(M&A)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며 “지금부터 잘 준비해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충고했다.

M10 시스템반도체 전환, 승부수 띄운 SK하이닉스…향후 풀어야 할 난제는?

자금력도 변수다. 시스템반도체 미세공정 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투자 부담은 점차 커지고 있다. 과거 65㎚ 공정 시스템 반도체 팹을 구축하는 데 29억달러가 필요했다. 그러나 28㎚ 팹을 확보하는 데 58억달러가 소요된다. 20㎚와 14㎚ 핀펫(FinFET) 팹을 확보하려면 각각 90억달러, 102억달러가 든다. SK하이닉스가 제대로 된 미세공정 설비를 확보하려면 천문학적인 자금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현재 SK하이닉스가 현재 보유한 현금은 3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증권가 한 애널리스트는 “SK하이닉스는 과거 중고 설비를 활용해 투자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여러 차례 성공한 바 있다”며 “투자 경험을 활용하고, 모회사 SK텔레콤이 보유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수요처를 확보한다면 단기간에 성과를 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형수기자 goldlion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