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조달에 7억원, 상장유지에 연 3억원…"코스닥 상장사 허리 휜다"

국내 기업이 코스닥에 상장(IPO)하고 첫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쓰는 초기 비용이 평균 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을 유지하는 데에도 연간 3억원은 소요돼 IPO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최근 3년간 새롭게 상장한 코스닥 상장 법인 109개사(외국계·SPAC 제외)가 신규 상장으로 자금조달에 소요한 비용(주관사 수수료 및 회계·법률·IR 비용)은 평균 6억80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109개 회사가 IPO를 통해 조달한 1개 회사 당 총 자금 규모 평균 금액은 170억원이었다. 약 4%를 조달 비용으로 쓴 셈이다.

자금조달 소요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IPO를 위한 주관 증권사 인수수수료였다. 인수수수료는 전체 비용 중 약 72%였다. 회계·법률관련 비용이 17%, IR 비용이 6%, 등기관련 비용이 1%를 각각 차지했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자금조달 소요 비용은 일회성이 대부분이고 향후 자금 조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사전 정비 작업 차원이기 때문에 조달된 금액 대비 큰 규모가 아닐 수 있다”며 “상장을 하면 숫자로 집계되지 않는 홍보 효과도 크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2012년 말 상장한 코스닥 150위권 국내 디스플레이 장비기업의 재무 담당 임원은 “IPO 자금 조달에 쓰인 비용은 증권사와 수수료, 공모비용을 합해 약 3억∼4억원 소요된 것으로 파악한다”며 “유지비용은 인력 채용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인건비가 가장 큰 부담”이라고 말했다.

상장 이후에는 상장 유지비용이 큰 부담이다. 이들 109개사의 절반이 참여한 무작위 추출 조사에 따르면 공시·IR 등을 포함한 연간 상장 유지비용 평균 금액은 약 3억원으로 집계됐다.

회사별 차이는 있었으나 금액 중 공시·IR 금액이 1억3000만원 남짓으로 절반에 이르렀다. 공시 관련 인건비와 IR, 홍보비를 포함한 경우다. 인력 전략에 따른 편차도 크다. 한 중소기업 코스닥 상장사 관계자는 “상장을 유지하기 위한 인력을 별도로 채용할 경우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져 우리는 채용하지 않았다”며 “기존 인력의 업무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토로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도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 별도로 IR대행사와 협력하기도 하면서 비용이 늘어난다”고 부연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코스닥 상장사가 거래소에 내는 연 부과금은 연간 약 100만~200만원 정도다. 거래소 측은 이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던 기업이 20억원에 달하는 유지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상장 폐지 후 코스닥 상장을 계획하는 사례도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닥 상장사의 자금조달 및 상장 유지 비용(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증권업계)>


코스닥 상장사의 자금조달 및 상장 유지 비용(자료: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증권업계)


유효정기자 hjyo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