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 우산 역할 공기업 역할 필요하다

2008~2012년 에너지 공기업 누적 투자액은 264억달러에 달한다. 석유공사(59%), 가스공사(23%), 광물공사(9%)가 주도했다. 대형화 전략으로 투자가 활발했던 시점이다. 석유공사는 우량광구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최소 생산량 하루 24만배럴을 확보했고 광물공사는 세계 80위권에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 기간 동안 에너지 공기업 자산은 73조원으로 57.3% 증가했다. 하지만 부채 또한 94.6% 늘어 59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금융부채는 39조3000억원에 달했다. 석유공사는 부채비율이 2008년 73%에서 2012년 168%로 늘었고 광물공사도 85% 에서 177%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가스공사 부채비율은 385%에 달했다. M&A를 통한 몸집 키우기에 주력하다 부실자산을 인수하기도 했다. 이는 정부가 강도 높은 재무구조 개선 작업을 추진한 배경이 됐다. 현재 자원개발 공공부문 신규 투자는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사업성이 떨어지는 자산을 가려내고 매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업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이견이 없지만 또 다른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신규 투자에 적극 참여하지 못하면서 유망한 프로젝트 참여 기회를 잃고 그동안 확보한 해외 네트워크도 축소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기업과의 협력이 끊기면서 민간기업의 자원개발사업이 위축되는 것은 더 큰 문제로 지적된다.

올해 상반기 광물 자원 분야 신규 투자는 크게 감소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해외자원개발 융자사업에서 상반기 광물 부문 집행건수는 단 한 건도 없었다. 광물 사업은 특히 공기업과 민간 기업 협력이 활발한 분야다. 업계는 광물공사가 해외 자원개발사업에 나서지 못하면서 민간 기업 참여도 끊긴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석유·가스 분야에서도 석유·가스공사와 민간 기업의 협력으로 그동안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서 성공 사례를 만들어 냈다. 이를 감안하면 공기업 투자가 장기간 경색될 경우 민간기업 투자 축소가 우려된다.

자원개발 기업 관계자는 “해외 자원개발사업은 신뢰도가 중요한 만큼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함께 참여할 경우 사업권 확보에 더 유리하다”면서 “재무구조 개선 작업에 들어간 상황에서도 신규 사업을 검토하지 않는다면 수년간 확보해 온 경쟁력과 성과까지 모두 잃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