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풀 꺾인 일본 신재생 시장...한국기업 어쩌나

세계 최대 태양광 시장으로 부상한 일본이 태양광 설치를 제한하고 나섰다. 계통 안정성 확보를 이유로 사업 인가를 보류하면서 당장 10월부터 수요가 급감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일본 시장 의존도가 높은 국내 태양광 기업 영업환경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규슈전력은 지난달 25일부로 신재생 계통 인가를 모두 보류한다고 발표했다. 올해 7월 말까지 접수한 계통 연계 신청에 대한 인가를 내줄 경우 지역 전력 수요를 상회하는 약 1260만㎾의 신규 설비가 들어서 계통 안정성을 해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원자력 1기 설치용량을 넘어서는 수치다. 이번 조치로 7만여건의 계통 연계 인가가 모두 무기한 연기됐다.

규슈전력이 이를 철회할 때까지 태양광, 풍력, 수력, 지열, 바이오매스 등 주요 신재생에너지사업을 추진할 수 없게 됐다. 특히 최근 성장세를 거듭해온 태양광 수요는 당장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규슈는 일본 신재생에너지 설치량의 20%가 밀집된 지역으로 특히 태양광 수요가 집중돼 있다.

일본 의존도가 가장 높은 국내 태양광 기업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화, LG전자 대기업을 비롯해 신성솔라에너지 등 대다수 국내 태양전지·모듈 기업은 일본 시장을 주력 시장으로 영업을 펼쳐왔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단일 브랜드로는 일본에서 가장 많은 520㎿ 규모의 모듈을 판매했다. LG전자도 전체 생산량의 절반에 달하는 180㎿를 판매하는 등 국내 기업 대다수가 일본에서 실적 개선 기반을 다지고 있다. LG CNS, 에스에너지 등 태양광 EPC기업도 일본을 거점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규슈에 이어 시코쿠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 계통 인가 보류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일본 내 태양광 수요 감소로 인한 우리 기업의 매출 감소는 불가피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태양광 기업 해외사업담당자는 “전력 수요가 적은 지역에서 계통 연계를 제한하면 도쿄, 오사카 등 수요가 많은 지역에서 사업을 추진할 수밖에 없어 사업비용이 상승한다”며 “이번 조치가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겠지만 원전 재가동 논의가 시작되는 등 일본 태양광 시장이 과거처럼 성장할 수 없는 분위기가 뚜렷해지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최호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