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허울 뿐인 인터넷 중독상담 서비스

서울과 경기 거주자 100명 가운데 8명은 인터넷 중독위험군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터넷중독상담 전화(1599-0075) 서비스에 대한 인식률과 이용률이 각각 5%, 1%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새누리당 민병주 의원이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에서 드러난 결과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경고음이 커졌지만, 생각보다 많은 사람이 중독위험에 빠져 있다는 사실이 충격적이다.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인터넷 활용 교육이 절실하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느끼게 해준다.

그런데 더 문제는 이미 중독해소를 위해 마련한 사회적 시스템이 무용지물이라는 것이다. 민병주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인터넷중독상담 전화 서비스를 운영 중이지만, 이를 모르는 사람이 95.8%에 달했다. 이용률은 1%에 불과했다. 이쯤되면 정부가 인터넷 중독의 위험에 대해 얼마나 느슨하게 대처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스마트폰의 대중적 보급으로 인터넷 중독은 갈수록 사회적 문제로 비화되고 있다. 특히 자제력과 판단 능력이 떨어지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은 매년 1%씩 상승할 정도로 가파르다.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조사 결과에서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2011년 10.4%에서 2012년에는 10.7%, 2013년에는 11.7%로 매년 상승 추세를 보였다.

인터넷 중독으로 학업과 멀어지거나, 대인관계 장애 문제도 종종 목격된다. 인터넷 중독으로 빚어지는 사건 사고나 범죄도 적지 않다.

인터넷의 대중화로 앞으로 인터넷 중독위험에 노출되는 사람들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정부는 이를 고려해 인터넷 중독자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치료해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지금처럼 유명무실한 상담 서비스로는 국민의 혈세만 낭비하는 꼴이다. 이번 기회에 정부는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책을 다시 점검해봐야 한다. 정부가 너무 안이하게 인터넷 중독 문제를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꼼꼼히 따져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