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까지 게임산업 진흥에 최소 2300억 투입…문화부, 중장기계획 발표

정부가 오는 2019년까지 2300억원 예산을 게임산업 진흥에 투입한다.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해 TV제조사, 통신사, 게임업계가 함께하는 차세대 게임플랫폼 포럼을 운영하고 등급분류를 민간자율기구로 완전히 이양하는 등 제도개선책도 내놨다. 2019년까지 5000억원 매출을 올리는 기업을 현재 5개에서 10개로 키운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2019년까지 게임산업 진흥에 최소 2300억 투입…문화부, 중장기계획 발표

윤태용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콘텐츠실장은 18일 서울 광화문 외교통상부 별관에서 게임산업진흥중장기계획을 발표하며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해 △차세대플랫폼 지원 △해외진출 활성화 △등급제도 개선 등을 진행할 것”이라며 “2019년까지 문화부 예산 1800억원을 비롯해 최소 2300억원 예산을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우선 내년부터 게임개발사, 퍼블리셔, OTT사업자, TV제조사, 통신사(클라우드서비스 제공사) 등이 참여하는 차세대 게임플랫폼포럼을 운영한다.

연 2회 관련 동향을 공유하고 기술개발, 퍼블리싱, 유통을 공동 논의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운영 중인 디지털콘텐츠 산업포럼과 연계해 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지원사업과 제도개선 과제도 발굴한다.

강석원 문화부 게임콘텐츠 과장은 “이미 올해 6월부터 TV제조사로부터 스마트TV 등에 들어가는 게임콘텐츠 등급분류 개선 요청을 협의 중”이라며 “플랫폼 경계가 사라지는 만큼 게임 생태계를 보다 확장해 차세대 플랫폼에서 우리나라가 앞서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OTT 환경을 비롯해 홀로그램, 3D, 인공지능(AI) 핵심기술 확보도 지원한다. 고비용·고위험 분야로 꼽히는 인공지능(AI) 분야는 민관 공동연구도 추진한다. 미래형 기술 연구개발(R&D)에 2019년까지 총 222억5000만원 예산을 들일 계획이다.

기존 업체들에는 수출지원을 강화한다. 동남아·중남미 등은 신흥·잠재시장으로 따로 분류해 수출지원을 구체화하고 중국 등 국내 게임업계가 이미 활발히 진출한 지역은 지역 이슈를 전담하는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할 계획이다.

모바일게임 분야에서는 해외 서비스 종합지원을 위한 글로벌 서비스 플랫폼을 2016년부터 운영한다. 문화부는 이를 통해 국산 모바일게임을 500개 수출하고 1000억원 매출과 2000여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현재 청소년 이용불가, 아케이드 게임 등급분류를 관리하는 게임물관리위원회는 사후관리에 집중하는 형태로 바뀐다.

최소한 장치만 남겨두고 점진적으로 게임물 등급분류 전체를 민간기구로 이양할 계획이다. 정책개선 TF를 통해 내년 최종 방안이 나온다.

윤태용 실장은 “국내 게임 산업은 여전히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가 추진하는 ‘창조경제’와 ‘경제혁신’ 계획의 근간”이라며 “정부는 국내 기업이 좋은 게임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