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절름발이 반도체 강국, 한계 뛰어넘어야

메모리 강국의 한계를 넘어 진정한 반도체 강국으로 나아가려는 정부와 업계의 노력이 다시 한번 좌절됐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메모리에 편중된 우리 반도체 산업을 다원화하고자 추진한 차세대 전력반도체 사업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심사 문턱도 넘지 못한 채 멈춰선 것. 2012년부터 3년째 기획단계에만 머물고 있는 셈이다.

전력반도체는 스마트폰 등 첨단 전자기기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이다. 이미 선진국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지만, 전기자동차·스마트그리드·홈네트워크·태양광 등을 중심으로 시장이 커지고 있어 미래 성장동력산업으로 한층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세계적인 환경 규제와 에너지 절감 이슈로 전력반도체에 대한 관심은 어느 때보다 뜨겁다.

우리나라는 전력반도체의 97%를 수입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합쳐 약 40여개 기업이 국내에서 전력반도체를 개발 또는 생산하고 있으나, 규모가 큰 해외기업과의 경쟁에서 밀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전력반도체 생태계 기반 부족과 인력 부족을 원인으로 꼽는다.

우리나라는 분명 반도체 강국이다. 하지만 반도체 시장에서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메모리 강국일 뿐이다. 메모리 반도체 강국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역으로 정부 정책 예산 배정에서 시스템반도체는 소외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메모리반도체는 더 이상 정부 지원 없이도 경쟁력을 유지해 나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시스템반도체는 상황이 다르다. 전문 인력과 기술 및 개발 인프라 부족으로 개별기업이 추진하기엔 많은 난관이 있다. 또 투자에 따른 위험도 높아 아직은 정부 차원의 지원이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미 삼수를 경험한 차세대 전력반도체사업이 더 이상 ‘반도체’라는 이름 때문에 역차별을 받지 않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