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현대차, 후방 협력사와 영업이익률 격차 3배

국내 제조업의 대기업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협력업체들의 경영 환경이 갈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대기업은 높아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일류 기업 반열에 올랐으나, 후방 지원을 맡은 협력업체들은 수익성이 저하되고 장기적인 성장 기반도 취약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와 산업연구원 이항구 선임연구원(박사)이 공동 연구한 ‘제조 협력업체의 경영성과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 제조업 성장을 주도하는 삼성전자와 현대차에서 특히 두드러진 것으로 분석됐다.

삼성전자(국내)의 영업이익률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5.7%에서 2009년 7.2%, 2010년 11.0%, 2011년 8.1%, 2012년 13.1%, 2013년 13.8%로 높아졌으며, 이와 함께 영업이익도 급증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삼성전자 협력업체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4.6%, 6.4%, 7.2%, 4.5%, 4.2%, 4.2%로 오히려 후퇴한 것으로 파악됐다.

협력사들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삼성전자와 비교하면 3분의 1에도 못 미친다.

이 기간 삼성전자 협력업체들도 삼성전자의 매출 성장과 더불어 연평균(CAGR) 15.4%의 매출 증가를 보였지만, 수익성은 저하됐다.

현대차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현대차그룹 계열 부품사들 평균 영업이익률은 2008년 8.2%, 2009년 9.7%, 2010년 10.0%, 2011년 9.3%, 2012년 9.9%, 2013년 9.3%를 기록했다.

하지만 비계열 부품사들 평균 영업이익률은 같은 기간 3.6%, 3.3%, 5.4%, 4.2%, 3.6%, 3.3%로 계열 부품사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 같은 수익성 저하는 대기업 협력사들의 고용, 연구개발(R&D) 투자 둔화와 함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며, 대기업과의 임금 격차도 키우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현대차의 경우 계열 부품사의 고용은 2008년 1만1597명에서 2013년 1만6519명으로 5년간 연평균 7.3% 늘고, 평균 급여는 같은 기간 6193만원에서 96만원으로 연평균 7.8% 올랐다.

이에 반해 비계열 부품사의 고용은 2008년 11만7994명에서 2013년 13만4548명으로 연평균 2.7% 늘어나는 데 그쳤으며, 평균 급여는 3949만원에서 5290만원으로 연평균 6.0% 올랐다.

이로 인해 계열 부품사 대비 비계열 부품사의 평균 임금 수준은 같은 기간 63.8%에서 58.7%로 격차가 커졌다.

류경동기자 nina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