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응급환자, 원격협진으로 대도시 병원 진료 받는다

정보기술(IT)을 이용해 대도시 병원 응급전문의가 원격으로 농어촌 취약지 응급환자 진료를 돕는 사업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는 도농간 응급의료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8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 사업 참여기관 분포(출처: 보건복지부)
응급의료 취약지 원격협진 사업 참여기관 분포(출처: 보건복지부)

농어촌 취약지에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거점병원 전문의를 호출하고 원격협진시스템을 통해 영상·음성·진료기록 등을 실시간으로 공유, 응급환자를 진료하는 것이 골자다.

전문지식을 갖춘 인근 대도시 거점병원 전문의와 환자 상태를 가장 잘 아는 취약지 응급실 의사가 협력해 대도시까지 이송되지 않더라도 질 높은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취지에서 사업이 기획됐다.

시범사업은 인천길병원·제주한라병원·춘천성심병원 등 6개 거점병원과 26개 취약지 응급실에서 우선 시작되며, 복지부는 연내 10개 거점병원을 비롯한 70개 기관으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원격협진을 위해 컴퓨터단층촬영(CT) 등 영상자료와 음성·영상통화, 진료기록을 실시간 공유할 수 있는 원격협진시스템이 제공된다. 기존 전화상으로만 전달받던 환자 상태를 보다 생생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스마트폰·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협진 체계도 갖춰진다.

복지부는 원격협진으로 전보다 수준이 높은 의료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했다. 응급환자가 이송되는 동안 거점병원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받을 준비를 해 응급수술까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복지부는 “농어촌 취약지의 응급의료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확충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도시와 농어촌 사이의 격차가 커서 원격협진을 도입했다”고 설명했다.

현행 의료법은 의사와 의사 간 원격진료만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시범사업은 의료진 간 협진이라도 원격에서 환자 진료를 함께 하는 특성 때문에 경계가 모호할 수 있다. 의료계는 의사와 환자 간 원격진료는 안전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반대해왔다.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