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요금제부터 알뜰폰까지...통신소비자 `행복한 고민`

데이터요금제 가입자수(자료:미래부, 5.23 기준)
데이터요금제 가입자수(자료:미래부, 5.23 기준)

데이터중심요금제 가입자가 2주만에 80만명을 넘어섰다. 1인당 평균 통신비 인하 효과가 7800원에 달했다. 기존 요금제가 그대로 남아있는 데다 20% 선택요금할인, 알뜰폰 등 대안이 많아 이동통신요금 유연성이 커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동통신 이용패턴에 따라 개인이 ‘맞춤형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기준 이동통신 3사 데이터요금제 가입자는 80만2662명이다. KT가 8일 처음 도입한지 2주만에 달성한 성과다. 하루 5만7000여명이 가입한 셈이다. SK텔레콤이 19일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한 것을 고려하면 향후 가입자는 가파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80만명 중 28%가 기본요금인 2만9900원 요금제를 선택했고 57%가 3만원대 요금제로 갈아탔다. 5만원대 이상 요금제 가입자는 29%로, 기존 51%에서 크게 감소했다.

최소한 데이터요금제를 선택한 사람에게는 요금인하 효과가 크다는 뜻이다. 1인당 평균 7800원 요금인하 혜택을 봤다.

미래부는 데이터요금제가 ‘대박’ 수준의 호응을 얻고 있는 것을 내세우면서도 ‘무조건’ 좋거나 나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류제명 미래부 통신이용제도과장은 “통신소비자가 이용패턴에 맞는 이동통신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됐다는 게 핵심”이라며 “다양한 요금제를 충분히 활용하면 지금까지 없었던 통신요금인하 효과를 체감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통신 요금제 구조(자료:미래부)
이동통신 요금제 구조(자료:미래부)

미래부 설명처럼 데이터요금제는 ‘선택’의 문제이지 ‘선악’의 문제가 아니다. 구(舊)요금제와 신(新) 데이터요금제 기본요금만 비교해봐도 이는 금방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SK텔레콤 밴드데이터29요금제(순액요금)는 부가가치세 10%를 더하면 실제 납부금액이 3만2890원이다. 동일선상에 있는 구요금제 LTE T끼리35요금제는 2년 약정할인과 부가세를 계산하면 실제 납부액이 3만580원이다. 데이터요금제가 2310원 비싸다. 데이터 제공량도 T끼리가 250MB 많다.

이것만 보고 ‘데이터요금제는 나쁘다’고 해선 곤란하다. T끼리는 망내통화만 무제한이지만 밴드데이터29요금제는 망내외·유선통화가 전부 무료이기 때문이다. 구요금제와 데이터요금제 중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고를 줄 아는 게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통화량과 데이터사용량이 월등하게 많은 사람은 데이터요금제가 유리하고, 나머지는 경우에 따라 데이터요금제와 구요금제에서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골라야 한다.

신구 요금제 외에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후속 대책으로 나온 ‘20% 선택요금할인’도 요금제 선택에서 중요한 요소다. 20% 요금할인은 크게 △지원금 없이 내 돈 주고 산 휴대폰 △지원금을 받았더라도 약정이 끝난 휴대폰이 대상이다. 해외 직구폰, 자급제폰, 중고폰, 장기사용폰이 해당한다. 구요금제에서 이 휴대폰으로 1년 또는 2년 약정을 맺으면, 약정할인 받은 요금에서 20%를 추가 할인해준다. 데이터요금제는 순액요금(약정할인된 금액)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기된 요금에서 20%를 할인해준다. 데이터요금제와 20% 요금할인을 결합하면 음성과 데이터를 사실상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5만9900원 요금제(KT기준)를 4만7920원에 이용할 수 있다.

구요금제와 데이터요금제는 20% 요금할인제도와 비교해 고가의 최신 스마트폰을 사는데 유리하다.

통화량이나 데이터사용량이 많지 않고 최신폰에도 관심없다면 알뜰폰이 제격이다. 알뜰폰은 이미 ‘LTE 반값 유심요금제’ 등을 통해 이통 3사보다 50% 저렴한 요금제로 이동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심지어 1000원 요금제 등 극단적 저가 요금제도 있다. 더욱이 미래부가 지난 21일 알뜰폰 추가 활성화정책을 내놔 서비스 품질을 높아지면서 요금은 더욱 내려갈 가능성이 커졌다. 이통 3사와 같은 데이터요금제도 곧 내놓을 예정이다.

류제명 미래부 과장은 “알뜰폰도 조만간 데이터요금제를 내놓게 될 것”이라며 “이동통신 경쟁이 심화되기 때문에 가계통신비는 더욱 내려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용주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