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지금부터 `올림픽 효과` 극대화 방안 찾아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3년 앞으로 다가왔다.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를 앞두고 국내외 ICT 관련기업도 분주해졌다. 우선 언어장벽 극복이 화두도 등장했다. 음성인식과 통역기술 확보를 위해 정부산하 연구기관도 R&D에 착수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외국인과 국민이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세계 80개 국가에서 방한한 6000명이 영화 속 주인공이 되는 셈이다.

일본 움직임도 만만찮다. 일본은 이미 2020년 도쿄올림픽을 ‘언어장벽 해소’ 행사로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미래번역 NTT도코모 일본국립정보통신연구소 등이 개발 참여를 선언했다. 자칫 늦어지면 일본에 선수를 뺏길 수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 두 나라가 음성인식 및 통역경쟁에 돌입했다.

스마트폰에 기술이 구현되면 언제 어디서나 자유로운 대화가 가능해진다. 언어한계가 사라진다. 가령 케냐 선수가 스마트폰에 자국어로 말하면 한국어로 자동 번역서비스가 지원된다. 언어장벽 극복은 비단 올림픽만의 문제는 아니다. ICT가 종국적으로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다. 올림픽은 월드컵과 더불어 전세계에 첨단 ICT를 알리는 장이다. 홍보와 마케팅 측면에서 이보다 좋을 순 없다. 과거에도 대형 스포츠 대전은 신기술 경연장이었다. 우리나라는 2002년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른 경험이 있다. 이번에도 우수한 토종 기업이 국제무대에 데뷰하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 평창올림픽이 역대 최고 IT올림픽으로 자리매김하면, 방송 음향 장비 해외 수출도 기대할 수 있다.

다행히 우리 토종 기업들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제대로 검증을 받겠다는 자심감도 엿보인다. 현재 방송 음향장비 시장은 사실상 일본 기업이 독점하고 있다. 국산 장비 활용률은 아직 미흡하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차세대 전략 수출상품화가 가능하다. 중장기적으로 수출확대 계획을 세워야 한다. 우리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뽐낼 수 있는 기회를 놓여선 안 된다. 지금부터 민관이 ‘올림픽 효과’ 극대화 방안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