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빅데이터 사업 올해 3000억 규모…국가 정책 빅데이터 적용 `활발`

새해 공공 빅데이터 분석 사업이 잇따른다. 공공 빅데이터 사업은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3000억원 규모다. 정책과 대국민 서비스에 빅데이터 적용이 본격화된다.

6일 정부 따르면 올해 중앙부처 빅데이터 사업 규모는 2000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700억원보다 세 배 가까이 증가했다. 공기업을 포함하면 3000억원을 넘는다. 국토교통부·국방부·해양수산부·기상청·한국국토정보공사 등이 연초 빅데이터 사업을 시작한다.

국토교통부는 범부처 활용 공간 빅데이터 표준 플랫폼을 만든다. 공간정보 기반 부동산·교통·행정·의료·상업 등 35종 데이터를 융합한다. 국산 지리정보시스템(GIS) 솔루션도 개발한다.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도 구축한다. 공공·민간 교통 빅데이터를 융합한다. 빅데이터 표준화와 품질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도로 빅데이터를 활용해 표지판 등 주변 시설을 최적화한다.

공공 빅데이터 사업 올해 3000억 규모…국가 정책 빅데이터 적용 `활발`

국방 빅데이터도 활용한다. 국방부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연내 시범사업으로 군인 급여와 인사 데이터를 융합해 자산운용을 효율화한다. 국방통합데이터센터 내 국방빅데이터센터를 설립했다. 전투력 강화에도 빅데이터를 활용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 빅데이터 활용으로 투명한 국방 운영체계를 확립한다”고 말했다.

해양·수산 데이터를 축적한 국립수산과학원도 빅데이터를 분석한다. 수산자원 변동과 장기 해양기후를 예측한다. 해양수산부 등에 분석 자료를 제공, 정책에 반영한다. 기상청은 클라우드 기반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한다. 기상기후 예측은 물론이고 타 산업에 제공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쇠고기 등 축산물 빅데이터 분석 인프라를 갖춘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빅데이터 민간 제공 사업 모델을 발굴한다. 한국마사회도 빅데이터 뱅크를 구축한다. 연내 활용 방안을 수립한다. 이외 중앙부처와 공공기관에서 연내 100건에 이르는 빅데이터 사업을 추진한다.

국가 정보화 정책이 인프라 구축에서 데이터 활용으로 변화한 것이 사업 확산 배경이다. 2000년 후 공공기관은 정보시스템을 적극 구축했다. 2010년 이후 정보시스템에서 산출된 데이터 활용이 화두로 떠올랐다. 정부 주도 ‘정부3.0’ 정책도 한몫했다. 2018년까지 공공 빅데이터 사업은 지속된다. 정부 정책과 대국민 서비스에 빅데이터 적용이 본격화 된다.

부처·기관 협력 추진이 요구된다. 부처·기관별 산발 추진보다는 특정 영역별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행정정보·공간정보·교통정부·국방정보 등 일부 영역에서 부처 간 협업 빅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된다. 영역별 빅데이터 플랫폼 연계를 위해 허브 플랫폼이 필요하다. 빅데이터 전문가는 “다양한 빅데이터를 융합, 활용을 위해 데이터 표준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공공 빅데이터 사업 확대로 시장도 커진다.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 중심으로 공공 빅데이터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SW업체 대표는 “올해 공공 빅데이터 사업 수주에 적극 나선다”며 “적은 사업 예산이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신혜권기자 hk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