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노믹스] 하원규 박사, "맨 몸으로 제4차 산업혁명 맞이하는 한국, 제도 도입 시급"

“한국은 지금 제4차 산업혁명 최전선에 서 있습니다.”

하원규 박사(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는 IP노믹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만물인터넷과 인공지능(AI)이 융합되면서 4차 산업혁명을 불러오고, 이는 총체적인 생활양식 변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4차 산업혁명을 뒷받침할 정책과 제도는 이직 미흡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하원규 박사가 최근 IP노믹스와 인터뷰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신제도 도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원규 박사가 최근 IP노믹스와 인터뷰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신제도 도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4차 산업혁명은 최근 가장 뜨거운 미래 이슈중 하나다. 매년 세계 경제 방향을 짚어내는 세계경제포럼(WEF) 제46차 연차총회(이하 다보스포럼)가 뽑은 올해 주제 역시 ‘제4차 산업혁명의 이해’다.

하원규 박사는 4차 산업혁명 개념을 ‘생각하는 만물 혁명’으로 정의했다. 기존의 IT시스템이 ‘인간이 구축한 시스템’을 토대로 구현됐다면 4차 산업혁명을 촉발한 인공지능은 스스로 생각하며 시스템을 완성해 간다는 의미다.

그는 “4차 산업혁명에 활용될 미래 인공지능은 고정화된 프레임에서 작동하는 지능시스템이 아니라, 모든 걸 스스로 학습해 구축하는 똑똑한 ‘아이’와 같다”고 비유했다. 그동안은 인간이 입력·축적한 정보 범위 내에서만 구동됐다면, 미래 인공지능은 스스로 정보를 입력·사고하는 단계까지 발전한다는 예측이다.

과거 인공지능(좌)이 인간이 결정한 분석 방법론을 토대로 구현됐다면 최근 심층학습(우)은 비정형 데이터를 자체 분석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과거 인공지능(좌)이 인간이 결정한 분석 방법론을 토대로 구현됐다면 최근 심층학습(우)은 비정형 데이터를 자체 분석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하 박사는 최근 등장한 인공지능 기술이 사물의 특징을 스스로 추출하고 인지하는 수준에 이미 도달했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공간에 직접 접속해 가공되지 않은 빅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 박사는 “만물초지능통신은 생활방식과 사회·경제 운영 방식 전체를 송두리째 바꿀 것”이라며 새로운 정책과 제도 도입을 강조했다. 기존 틀로는 지식 로봇과 인공지능이 불러올 새로운 사회 시스템을 뒷받침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가 우수 사례로 꼽은 국가는 독일과 미국, 일본 등이다. 독일은 지난 2011년부터 ‘인더스트리 4.0 플랫폼’을 제창하며 제조업 생태계를 새로 구축하고 있다. 민관 협력으로 제조업 혁신을 이끌어 낸 대표 사례로 꼽힌다. 미국도 2012년 GE를 필두로 ‘산업 인터넷 컨소시엄’을 구축, 네트워크 플랫폼을 다졌다. 일본이 작년 새롭게 내건 ‘로봇 혁명 신전략’도 일본형 산업혁명 모델을 디자인하기 위한 국가 전략이라는 평가다.

이에 비해 국내 정책과 제도는 연속성이 떨어진다고 하 박사는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작년 9월 발표한 ‘K-ICT 초연결지능망 발전전략’은 2020년까지 유효한 단기 계획일 뿐”이라며 새로운 중장기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가 내세운 전략 프레임은 ‘복수 전략 플랫폼’이다. △도시 생활 △건강·의료 △안전·재난 △산업경제 영역 전반에서 새로운 어젠더와 제도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하원규 박사는 “근대 산업혁명에서는 후발주자에 그쳤던 한국이 제4차 산업혁명은 다른 경쟁 선진국들과 동일한 출발선 상에 있다”며 바로 지금이 새로운 정책과 제도를 구축할 수 있는 최적기임을 강조했다.

※상세 내용은 IP노믹스 홈페이지(www.ipnomics.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소영 IP노믹스 기자 syy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