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한국에 충전인프라 구축 움직임까지 또 포착

테슬라가 한국 시장 진출을 앞두고 충전인프라 구축 움직임이 포착됐다. 전기차 충전기 전문 제작사와 충전서비스 사업자까지 접촉하며 충전인프라 구축 사전작업에 돌입했다.

미국에 구축한 테슬라 전용 충전인프라 `슈퍼차저(Supercharge)`. (자료 :tesla_gram)
미국에 구축한 테슬라 전용 충전인프라 `슈퍼차저(Supercharge)`. (자료 :tesla_gram)

테슬라 전기차는 기존 전기차보다 배터리 용량이 갑절가량 많고 충전 표준도 다르다. 한국 사업자와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

지난 23일 줄리앙 드 장뀌에르 테슬라 아태지역 충전인프라 총괄 담당은 우리나라 충전서비스 사업자 A사와 충전기 업체 B사를 잇따라 방문, 테슬라 `슈퍼차저(Supercharger)` 등 인프라 구축·운영 사전 논의를 벌였다. 이날 기자와 만난 줄리앙 총괄은 “구체적 시기나 전략, 충전인프라 구축 계획은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테슬라는 한국 충전서비스 업체와는 슈퍼차저 등 충전기 유형과 설치에 따른 사업자 자격 등을, 충전기 업체와는 충전기 구축 운영·유지보수 관련 준비 내용을 점검한 것으로 알려졌다. 테슬라는 A사와 수차례 미팅을 통해 충전인프라 구축에 관한 비밀유지계약(NDA)을 체결했으며 B사와도 지속 협력을 위해 NDA를 검토 중이다.

업체 관계자는 “테슬라 아태 충전인프라팀과 회의를 진행했지만 주고받은 내용은 밝힐 수 없다”며 구체적 언급은 피했다.

업계는 테슬라가 한국 진출을 위해 충전인프라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하고 있다. 테슬라는 자체 충전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국가 차원에서 공공시설물이나 충전소에 테슬라 전용 충전기 구축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미국과 유럽도 비슷한 이유로 테슬라 `차데모(CHAdeMO)` 규격에 호환되는 별도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별도 커넥터를 수용할 관련 법규가 아직 없다. 이 때문에 테슬라는 자체 예산을 투입해 슈퍼차저 등 별도 전용 시설을 운영하거나 충전소 위탁 운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나아가 전국 단위 전기차·충전기 정비망 등도 갖춰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 전기차는 1회 충전으로 300~400㎞를 주행하기 때문에 우리 국토 면적에서 공공 급속충전기 의존도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며 “고속도로 등 몇 군데만 전용 충전기를 설치하더라도 충전기 문제는 충분히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테슬라모터스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영진 5명은 `모델X` `모델S` 한국 출시를 위해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를 잇따라 방문했다. 정부 전기차 보조금·충전인프라 정책을 체크하고 전기차 환경인증과 안전 등 자동차형식 인증 절차 등을 협의했다.

박태준 전기차/배터리 전문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