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속도를 더 높여라

친환경에너지타운이 주목을 끈다. 주민 기피시설을 활용,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고 소득 창출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30일 직접 홍천 친환경에너지타운(이하 친환경타운) 현장을 찾았다. 정부 부처도 업계나 지역 의견을 듣기 위해 현장 행보를 잇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주민은 조성사업 유치에 앞다퉈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친환경타운 조성사업은 2014년 강원 홍천, 충북 진천, 광주 운정 3곳을 시범 선정하면서 시작됐다. 지난해 본사업 10곳과 올해 6개를 추가, 총 19곳이 확정됐다.

친환경타운은 에너지자립섬, 제로에너지빌딩과 함께 에너지신산업 3대 모델의 하나다. 국무조정실이 관장하고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여러 부처가 참여하고 있다.

특히 홍천은 에너지 신산업 적용을 통해 온실가스를 줄이며 전기를 생산하고 일자리를 만드는 효과를 톡톡히 봤다. 이에 힘입어 정부는 친환경타운을 전국으로 확대, 관광명소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정부는 친환경타운 해외 진출에도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주요 성공 모델을 수출 브랜드화 하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5월 이란과 친환경타운 공동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시작으로 중국, 아프리카 등으로 보폭을 넓히고 있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30일 에너지신산업 3대 모델 간담회에서 “에너지신산업 대표 모델이 친환경에너지타운”이라면서 “최근 폴란드, 에티오피아 등 해외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친환경타운은 홍천을 성공 모델로 삼아 수출까지 추진하고 있지만 조성 사업이 더딘 편이다. 2014년 시범 선정된 3곳 가운데 완공된 곳은 홍천뿐이다. 충북 진천은 지난해 6월 착공식을 갖고 한창 조성 중에 있다. 광주 운정은 사업자 선정 잡음이 늘어져 아직도 지지부진한 실정이다. 상황이 이러한데 지난해 선정된 10곳은 무슨 설명이 필요한가.

친환경타운은 지금 홍천이라는 성공 사례가 있어서 지자체나 마을주민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사업지 선정도 중요하지만 타운 조성에 발 빠른 행보가 필요하다. 관광 명소화와 수출 브랜드화라는 뚜렷한 목표를 세웠으니 서둘러 행동에 옮길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