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4차산업혁명, 디지털 주권 위한 기술교류·통합 필요하다

신현삼 태진인포텍 사장
신현삼 태진인포텍 사장

정부의 4차 산업혁명안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SW) 산업 육성 정책을 적극 펼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20대 국회에서도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가 대거 입성했다. 첨단 ICT와 기존 산업의 융합 정책을 통해 관련 기업을 글로벌 기업으로 우뚝 서게 함으로써 대한민국의 발전 전략을 구상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른 나라 역시 이미 한발 앞서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의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 IBM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관련 연구에 자본과 기술을 투자하고 있다. 독일은 `모두 다 함께`라는 구호 아래 정부와 산업계, 학계는 물론 일반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치밀한 준비를 했다.

특히 독일의 4차 산업혁명은 중소기업을 포함한 산업계 협회의 주도로 시작해 2년 후에는 노동조합, 시민단체, 정당 등 참여 범위가 넓어졌다.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탄소배출권 거래제, 유해물질 사용 규제 등과 같은 이슈를 함께 고민해 환경 보호라는 명분과 미래 기술 발전의 필요성 모두 범국민 차원의 공감대를 끌어냈다.

독일의 이러한 4차 산업혁명 과정은 `살아남아야 한다`는 절실함을 바탕으로 모아진 `디지털 주권 회복` 목표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아마존, 구글, MS 등의 거대 공룡이 한국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고 있지만 국내 ICT 산업에 미칠 영향은 밝지 않다. 이곳에 들어가는 대부분의 하드웨어(HW), SW 장비는 외산 제품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독일은 자국 산업을 보호하면서도 기술 발전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기술을 제조업에 접목시키는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제조업에서 출발해 사물인터넷(IoT)을 접목시켰다. 이를 위해 전자공학, 기계공학 등 관련 학계가 총동원됐다. 독일의 플랫폼 방식의 의사소통은 기업 단독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기업과 산업 간 의사소통을 활성화시켰다. 유사 업종, 관련 업종, 파생 업종 등이 모여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해 궁극으로 자국의 이익으로 모아낼 수 있도록 한다.

한국의 4차 산업혁명 방향성 역시 독일처럼 HW, SW 기업 간 플랫폼 속에서 선의의 경쟁과 협업으로 독자 기술 개발을 통한 글로벌 진출이 돼야 한다.

실제로 많은 국내 ICT 중소기업과 관련 기관, 협회 등이 국내 수요뿐만 아니라 수출을 목표로 한 기술 교류 및 통합제품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몇 개의 거대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세계 ICT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이다.

20대 국회에서 활발하게 추진되는 관련 포럼과 여러 연구 모임의 출범은 환영할 일이다. 미래 먹거리 시장의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ICBM 산업과 전통산업의 융합경제 실현 등 산적한 과제를 제대로 해결해 나가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다. 미래 산업의 주춧돌이 지금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한 가지 20대 국회에 바라는 게 있다면 바로 국내 HW, SW 기업 간 기술 교류와 통합제품 개발에 대한 현실적 지원이다.

대부분의 나라는 표준화된 자국 HW 제품에 우수한 기술력의 SW를 결합한 제품 개발 지원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차별화한 HW, SW 통합 제품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

20대 국회에서도 이러한 관점에서 미래 먹거리 시장에서의 `디지털 주권`을 주요 화두로 삼길 바라본다.

신현삼 태진인포텍 사장 hshin@taeji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