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첫걸음 뗀 ICT中企·벤처]<중>창업 때부터 해외 시장 겨냥

회사 설립 3년차 사물인터넷(IoT) 스타트업이 일본과 유럽으로 수출 시동을 걸었다. 기술 개발 단계부터 해외 시장조사를 병행하며 현지화 전략을 시도한 것이 성공요인이다.

스마트박스는 설립 만 3년을 넘긴 IoT 연계 물품보관함 서비스 기업이다. loT 기술을 활용해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택배함에 물건을 맡기고 찾아갈 수 있도록 했다. 받는 사람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면 암호화된 비밀번호가 받는 사람에게 자동 전달된다.

스마트박스는 기존 무인택배함이나 지하철 기반 물품보관함이 키오스크 방식으로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이 과다한 단점을 해결했다. 비용은 기존 제품 대비 3분의 1수준이며, 추가 택배함 설치가 유연한 것이 장점이다.

기술력을 인정받아 국내에서도 5678도시철도와 계약을 맺고 152개 전체 역에 설치돼 1년6개월간 운영됐다. 현재 새로 짓는 아파트단지나 공공기관, IT빌딩 등에 보급하고 있다.

스마트박스는 지난 2014년 10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행사장에 세계 최초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물품보관함 `스마트박스` 1500개를 설치해 각 국 대표단들이 이용하게 했다.
스마트박스는 지난 2014년 10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4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행사장에 세계 최초로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물품보관함 `스마트박스` 1500개를 설치해 각 국 대표단들이 이용하게 했다.

스타트업이지만, 창업 때부터 해외 시장을 겨냥했다. 2013년 4월에 회사를 설립하자마자 다음 달인 5월 KOTRA 지사화 사업에 선정됐다. 지사화 사업은 KOTRA 해외무역관에서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지사처럼 수출 업무를 대행해주는 것이다.

나예룡 스마트박스 대표는 “기술 개발 단계부터 국내와 달리 택배 배송이 까다롭고 비용도 3배 비싼 일본 시장을 고려했다”며 “지사화 사업을 통해 일본시장과 규제 동향을 꾸준히 파악하고 수출전략을 짜는데 반영해왔다”고 설명했다.

스마트박스는 하반기 일본 통신사와 협조해 무인택배시스템을 보급할 계획이다. 국내 레퍼런스(구축사례)를 확보하면서 해외 시장 진출에도 가속도가 붙었다. 하반기에는 스마트박스 재팬도 설립한다.

나 대표는 “일본 시장 특성상 현지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려면 기간사업자와 계약해 신뢰를 쌓아야했다”며 “스타트업이 접촉하기 어려운 기간사업자나 통신사업자 등을 일대일 수출상담회를 통해 만났다”고 말했다.

그 결과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 프랑스 순방에 맞춰 파리에서 프랑스 소재 IoT기업 `디지인터내셔널(DIGI International)`과 유럽 사업 업무협약 양해각서(MOU)를 교환했다. 유럽연합(EU) 지역 내 IoT 기반 물류보관함을 3년간 5만5000대 공급하는 1650만달러 규모의 공동 사업이다.

지난 6월 2일 프랑스 파리에서 스마트박스는 프랑스 소재 사물인터넷(IoT)기업 디지인터네셔널과 1650만달러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프레드릭 루우 디지인터네셔널 유럽 아시아-태평양 총괄 부사장, 나예룡 스마트박스 대표.
지난 6월 2일 프랑스 파리에서 스마트박스는 프랑스 소재 사물인터넷(IoT)기업 디지인터네셔널과 1650만달러 규모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프레드릭 루우 디지인터네셔널 유럽 아시아-태평양 총괄 부사장, 나예룡 스마트박스 대표.

중소기업중앙회 설문조사에 따르면 내수기업이 수출 전환에 어려운 이유는 `생산품목 자체가 수출이 불가능한 품목`이라고 꼽은 것이 절반((53.8%)을 넘는다. 개발 단계부터 수출을 고려한 상품 개발과 비즈니스 모델 수립이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또 중소기업 수출 및 수출전환 추진 시 △시장조사, 바이어 발굴 등 일대일 맞춤형 지원(41.4%)이 가장 필요하고 그 다음으로 △수출자금 지원우대(36.4%) △해외전시회, 시장개척단 참여기회 확대(33.6%) △해외 규격인증 획득 지원확대(29.1%) 순으로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나 대표는 “IoT 제품처럼 기존에 없는 제품일수록 해외 진출 시 국내 레퍼런스가 많이 필요하다”며 “단순 바이어 발굴, 연결 차원에서 나아가 정부나 공공기관이 앞장서 국내 중소기업 신제품을 앞장서 적용하고 적극 활용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김명희 기업/정책 전문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