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미국의 금리인상 대응이 급하긴 하지만…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안에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은 지난 26일(현지시간) 미국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조만간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스탠리 피셔 연준 부의장도 “금리는 이르면 9월을 포함해 연내 두 차례 인상이 가능하다”며 옐런 의장의 메시지에 무게를 더 실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미국의 금리인상을 두고 반신반의하는 입장이었다. 이번 연준의 분명한 메시지는 불확실성을 다소 해소시켰다는 긍정적 측면을 보여줬다. 그렇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은 우리 경제에 커다란 부담이다. 당장 증권과 채권 시장에 영향을 미치겠지만 거시경제에서 직격탄이 걱정된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가는 대규모 자본 유출과 달러화 강세로 외채 부담이 늘게 된다. 신흥국가가 어려워지면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는 힘들어진다. 가뜩이나 수출이 19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벌이며 2%대 성장에 갇힌 우리 경제에는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27일 한·일 양국은 재무장관회의에서 통화스와프 논의를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전문가들은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커진 만큼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는 바람직하다는 평가다. 모처럼 정부가 칭찬을 받아도 모자람이 없는 위기 대응 노력이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예의 주시해야 하는 커다란 변수다. 그러나 경제지표에 따라 시기가 결정되는 만큼 조급함을 버리고 차분한 대응이 필요하다.

오히려 우리 경제에는 추가경정예산안 처리가 `발등에 불`이다. 여야는 오는 30일 본회의에서 추경안 처리를 합의했다. 28일부터 본격 세부심사에 돌입한다. `일자리 추경`이라고 하면서도 걸맞지 않은 예산으로 `졸속·부실 추경`이란 오명을 쓰고 있는 상황이다. 원안 처리가 불가한 이유다.

이번 추경안에는 구조조정 후폭풍 완화라는 취지에 어울리지 않는 예산항목이 부지기수다. 필요 예산이 꼭 필요한 곳에 투입되려면 현미경 심사가 요구된다. 비록 남아 있는 세부심사 일정이 이틀뿐이지만 국회 예결위에 기대를 걸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