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기획]테크노파크 조직 어떻게 변해 왔나

[이슈기획]테크노파크 조직 어떻게 변해 왔나

테크노파크는 1998년부터 설치됐다. 인천, 경기, 대구, 경북, 광주, 충남 등 6개 지역을 시작으로 설치되기 시작해 2010년 제주테크노파크까지 전국에 총 18개가 있다.

테크노파크는 정권과 지역산업 기조가 바뀔 때마다 내부 조직과 기능에서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테크노파크 헌법이라 할 수 있는 표준 정관을 개정한 사례도 두 번이나 있었다. 표준 정관 개정은 전체 테크노파크에 공통으로 해당되는 변화였고, 개정 때마다 논란도 심했다.

한번은 MB정부 출범 첫 해인 2008년 테크노파크에 전략산업기획단과 지역특화센터를 통합한 일이다. 이전까지 테크노파크는 테크노파크사업단으로 불리는 작은 조직이었다. 표준 정관 변경과 함께 테크노파크 조직은 원장을 중심으로 정책기획단, 기업지원단, 행정실, 특화센터 등 4개 조직 체계로 자리 잡았다.

2009년 열린 전국 전략산업기획단 성과 발표회와 회의 모습
2009년 열린 전국 전략산업기획단 성과 발표회와 회의 모습

전략산업기획단 흡수 통합은 지역 전략산업 기획과 추진 기능을 테크노파크로 일원화하는 것이었다. 산재한 특화센터를 테크노파크로 모은 것은 테크노파크를 지역산업 육성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이었다.

하지만 전략산업기획단 흡수 통합은 반발이 심했다. 지역산업 지원 사업을 집행하는 선수인 테크노파크에 이를 기획하고 평가하는 심판(전략산업기획단) 기능까지 부여하는 모순된 재편이라는 것이다. 결국 전략산업기획단의 지역산업 기획 기능은 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평가 기능은 광역선도산업지원단을 거쳐 현재 지역사업평가단으로 분화됐다.

지역 특화센터 통합도 기존의 센터를 테크노파크 울타리에 묶어 놓는 물리 형태의 통합이었을 뿐 화학 형태 융합은 아니었다.

테크노파크 원장과 공모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장이 임명한 특화센터장 사이에 센터 사업 추진과 운영, 자립화 방안 등을 놓고 의견 대립이 잦았다.

부산테크노파크 특화센터인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의 전자파 실험실.
부산테크노파크 특화센터인 자동차부품기술지원센터의 전자파 실험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14년 부산테크노파크를 시작으로 전국의 특화센터를 지역 테크노파크 내 특화사업본부 또는 실 단위 조직으로 통합을 유도하고 있다. 테크노파크 원장이 인사권 등 센터 실권을 쥐고 센터를 지휘 감독할 수 있는 테크노파크와 특화센터의 화학 형태 결합이 목적이다. 이번 대구테크노파크 특화센터 통합 논란도 이 같은 배경의 연장선상에 있다.

또 한 번의 표준 정관 변경은 2014년 테크노파크 기업지원단 조직 개편 과정에서 이뤄졌다.

당시 산업부는 `지역산업발전종합계획`의 일환으로 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 기능을 `직접사업` 위주에서 기술경영 지원을 위한 통합 플랫폼 운영 조직으로 정리했다. 기업지원단의 핵심 기능은 사업의 직접 수행이 아닌 관리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전까지 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은 3개팀 이상에 인원도 20~30명에 이르는 큰 조직이었다. 개편 후에는 1~2개팀 5~10명으로 대폭 축소됐다.

하지만 기업지원단 재편과 기능은 여전히 논란거리다. 전국 테크노파크기업지원단은 정부 방침에 따라 기술경영 지원 플랫폼을 구축 운영하고 있지만 몇몇 대형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다시 직접 사업을 수행하는 조직으로 회귀하고 있다.

부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