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가 정치 바꾼다"… 시민 참여형 정치 플랫폼 봇물

IT가 시민 정치 참여를 이끌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과 맞물리면서 더욱 가열되는 분위기다.

"IT가 정치 바꾼다"… 시민 참여형 정치 플랫폼 봇물

정치 스타트업 와글은 최근 `박근혜 게이트 닷컴`(parkgeunhyegate.com)을 개설해 주목받았다. 이번 탄핵 정국과 관련된 인물을 소개하고 시민 생각을 모으는 웹사이트다. 앞으로 촛불민심을 대변할 온라인 시민의회 대표단도 구성할 예정이다. 와글은 지난해 8월 설립됐다.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목표 펀딩의 168%에 해당하는 후원금을 모아 운영에 돌입했다.

지난 2일에는 `박근핵 닷컴`(parkgeunhack.com)이 등장했다. 지역구 의원들에게 탄핵을 요청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곳이다. 응답 현황을 실시간 조회할 수 있다. 개설 닷새 만에 회원 87만여명이 참가했다. 9일 기준 탄핵 청원자 92만여명을 모으는 저력을 과시했다.

정치인 정보 제공 앱 `우리동네 후보`도 국내 대표 정치 스타트업이다. 각 정당과 정치인 정보를 모아 시민에게 알려주는 플랫폼이다. 미국 의회와 정부 자료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시킨 미국 스타트업 피스컬노트와 손을 잡았다. 선거철 유권자와 후보 간 의사소통을 돕겠다는 게 설립 취지다.

올해 4월에는 정치인들이 연설문을 쓸 때 활용할 수 있도록 의견을 제시하는 `필리버스터 닷 미`(filibuster.me)가 개설됐다. 유권자 투표가이드 서비스 `핑코리아`(pingkorea.com)도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다. 와글이 이들 웹사이트를 개발했다.

해외에는 이미 이 같은 플랫폼이 자리 잡았다. 뉴질랜드 개발자들이 만든 `루미오`가 대표적이다. 루미오는 뉴질랜드는 물론 브라질과 헝가리, 스페인에서도 시민 합의를 도출할 때 종종 사용된다. 스페인 신흥정당 포데모스(Podemos)는 루미오를 활용해 시민 2만7000여명이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도록 했다. 하버드대학과 위키피디아 재단도 의안 토론과 의사결정 절차에 루미오를 활용한 바 있다.

미국은 온라인 청원사이트 `체인지 닷 오알지`(change.org)가 있다. 현재까지 1억7340만명이 이곳에 의견을 올렸다. 아르헨티나에는 인터넷 기반 정당 `넷파티`가 있다. 온라인 투표 시스템에서 시민 의견을 공개적으로 모은 뒤 여기에서 나온 결과를 의회에 제출하는 구조다.

국내에도 루미오와 닮은 입법 청원 플랫폼 `국회 톡톡`(toktok.io)이 운영 중이다. 의사결정 방식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먼저 사회현안을 두고 시민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낼 수 있다. 이렇게 던져진 화두 중 시민 추천 1000건을 얻은 제안은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로 전달된다. 상임위 소속 국회의원 중 입법 추진 의사가 있는 이들을 추려 온라인 토론장으로 초대한다.

국회톡톡은 개발자 협동조합 빠흐띠와 와글이 함께 지난 10월 오픈했다. 설립 당시 `만 15세 이하 어린이 병원비를 국가가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첫 안건으로 상정됐다. 추천 수 1185건을 달성했다. 현재 천정배, 기동민, 남인순, 오제세, 윤소하 의원이 입법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진순 와글 대표는 “국민 눈높이에 한참 못 미치는 정치 탓에 민주주의란 용어가 철지난 유행가처럼 진부해졌다”면서 “소수 계층이 참여하는 대의제가 아닌 온라인·숙의·직접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시민 중심 플랫폼을 계속 개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