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AR 분야 선도하려면 가상훈련 산업 키워야"

박청원 전자부품연구원장이 가상훈련시스템산업포럼 2016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박청원 전자부품연구원장이 가상훈련시스템산업포럼 2016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고속 성장하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선도하려면 가상훈련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4일 스탠포드호텔 서울에서 열린 `가상훈련시스템 산업포럼 2016` 기조 연설자들은 “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HMD)에만 의존하는 VR산업은 한계가 있다”며 이같이 입을 모았다.

김기정 한국전자정보통신진흥협회(KEA) 팀장은 “가상훈련산업은 현실과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훈련하도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산업”이라면서 “VR와 AR 기술의 대표 전방 산업이 가상훈련 분야”라고 주장했다.

김 팀장은 VR와 AR 전·후방 산업 시장은 올해 44억달러에서 2020년 1198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 기기 대수도 같은 기간 2억3000만대에서 32억3000만대로 15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국내 가상훈련 관련 중소기업 174개사를 조사한 결과,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매출액은 평균 27%, 순이익은 7% 성장했다.

김 팀장은 이에 △B2C 시장 확대 △대·중소기업 상생 생태계 마련 △기술 표준화 △해외시장 진출 4대 전략을 제시했다.

김 팀장은 “가상훈련 산업은 커지지만 참여 기업 절반 가량이 종업원 20명 미만”이라면서 “가상훈련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중소기업이 협력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도승 목표대 교수는 가상훈련산업진흥법을 제안했다. 가상훈련 표준과 인증, 진흥정책 마련이 핵심이다. 가상훈련 산업을 법과 제도 측면에서 다뤘다. 가상훈련을 포함한 가상서비스기본법 제정까지 염두에 뒀다. 윤리문화와 이용자 보호, 서비스 고도화까지 담았다.

김 교수는 이를 위해 범국가적인 가상훈련시스템산업 정책을 추진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산업 활성화 지원 근거와 법적 기반도 마련해야 한다”면서 “주관 부처는 산업자원부로 하되 종합 추진이 필요한 점을 감안해 국무총리 직속 `가상훈련진흥전략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재석 상명대학교 교수는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고등학교 때부터 교육과정에 관련 과목을 넣는 것은 물론 산학연 가상훈련 인력양성센터 설립도 제안했다. 가상훈련시스템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지역별로 센터를 두는 방안이다.

기 교수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대학과 가상훈련시스템 개발환경을 갖춘 국책연구소, 개발이 필요한 산업체가 정부의 `가상훈련센터 클러스터 조성 사업(가칭)`에 참여하면 된다”며 “국책연구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활용하고 개발인력이 부족한 산업체 개발 요구를 바탕으로 R&D를 산학연이 공동 수행하자”고 말했다.

류관희 충북대 교수는 가상훈련 시스템 확대에 앞서 인증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상훈련 시스템 인증이 필요한 영역으로는 차량과 선박, 굴삭기를 꼽았다.

류 교수는 “가상훈련 품질 향상과 안전성, 수출 기반을 확보하려면 인증체계부터 갖춰야 한다”며 “가칭 가상훈련시스템인증센터를 둘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가상훈련시스템 산업포럼 2016`은 지난 5년간 가상훈련산업지원 성과를 발표하고 향후 발전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강윤순 메타포트 부사장과 류관희 충북대 교수 등이 가상훈련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상장과 감사패를 받았다.

유창선 성장기업부(구로/성수/인천)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