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자문회의]4차 산업혁명 핵심 `빅데이터 컨트롤타워` 설치 논의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15일 열린 과학기술전략회의 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범부처 빅데이터 정책 컨트롤타워`를 설치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4차 산업혁명에 선도적으로 대응하려면 실효성 있는 전략을 실행하고 지속적인 정책을 지원하는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주요국은 4차 산업혁명 주도권 확보를 위해 빅데이터를 국가전략 중심으로 설정하는 추세다. 미국은 지난해 5월 빅데이터 R&D전략을 설정했다. 유럽연합은 2015년 2월 빅테이터 유럽을 출범했고 중국은 2015년 4월 빅데이터 거래소를 설립했다.

우리나라도 2014년부터 `공공데이터 기본계획`을 수립했지만 시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관련 인력과 질적 측면은 부족한 실정이다. 미국은 전문기업을 중심으로 데이터 가공이 30%, 컨설팅이 26%로 빅데이터 시장이 형성돼 있다. 우리는 가공이나 활용보다 단순 앱, 웹 개발에 편중된 외형적 증가를 보인다. 전체 빅데이터 전문기업 중 70%가 매출 10억원 미만 소기업이다. 빅데이터 컨트롤타워가 만들어지면 민간 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수집·개방·활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규모나 세부 사항은 추후 논의할 예정이다.

정부는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필수인 `3차원 공간 및 실시간 정보데이터` 구축과 제공을 위한 관계부처 간 협업, 정밀의료 데이터 수집, `과학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을 제안했다.

예를 들어 과학 빅데이터는 경량소재, 신약, 탄소자원화 등 데이터 의존성이 크다. NRC에 따르면 데이터가 공유되면 첨단소재 연구기간이 최소 10배 줄어든다는 결과도 있다. 이 때문에 세계 주요국은 연구자가 R&D 수행 시 실험, 측정, 분석할 때 나오는 과학 빅데이터를 공유·활용하고 있다. 영국은 국가 과학데이터 관리 활용체계 마련을 시작했고 미국 역시 과학 데이터 관리계획 제출과 공유를 의무화했다. 중국은 과학데이터 공유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우리는 연구자가 개인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개인자산으로 인식하며 인적 네트워크에 의존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소재, 신약, 화학 분야부터 연구자 중심 과학 빅데이터를 시범 구축하고 수집과 활용 촉진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법률·특허 분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도 구축한다. 지능정보기술·산업 측면에서 활용가치가 높은 법률, 특허 등 공공과 민간 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로 가공한다. 학습용 데이터와 정부 인공지능 R&D 결과물은 중소·벤처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 인터페이스 방식의 오픈 API 형태로 제공한다.

빅데이터 활용 시 문제가 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제도 개선 방향도 제시했다. 개인정보 수집·활용 사전동의 방식을 산업별, 용도별 특성을 고려해 `사전동의`와 `사후동의` 혼용 적용하는 방안 도입도 논의된다.

융합전문인력도 키운다. 현장에서 시급히 활용 가능한 인력이 부족해 데이터 생애주기별 맞춤형 석·박사를 양성하고 지능정보 영재 5만명을 조기 발굴해 키운다는 계획이다. 전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등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산업별 빅데이터 현장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자는 방안도 나왔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