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5G-LTE 핸드오버 기술 시연 성공

SK텔레콤, 5G-LTE 핸드오버 기술 시연 성공

5세대(5G) 이동통신 구역에서 4G 롱텀에벌루션(LTE) 구역으로 이동해도 끊어짐 없이 무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5G 전국망 구축 완료에 시간이 걸리는 만큼 5G 도입 초기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SK텔레콤은 에릭슨과 함께 `엔드투엔드(E2E)` 5G-LTE 연동 기술의 국내 첫 시연에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E2E는 사용자가 5G 영역을 벗어나는 즉시 LTE로 연결, 끊어짐 없이 무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같은 핸드오버 기술이 없으면 5G 영역을 벗어나는 순간 동영상이 끊어지거나 처음부터 다시 봐야 하는 등 서비스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5G는 수십 ㎓ 초고주파 대역을 사용, 전달 거리가 짧다는 단점이 있다. 기지국을 촘촘히 건설해야 하고, 전국망 건설까지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5G와 LTE 핸드오버 기술이 필수다.

5G 기지국과 LTE 기지국을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로 연동, 두 영역을 오갈 때 서비스를 유지하는 기술이다. 단말-기지국-서버 모두 연동한다는 점에서 `엔드투엔드` 연동 기술로 불린다. 기존의 5G-LTE 연동은 코어 네트워크 없이 기지국을 직접 연동, 기지국이 많은 상용망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시연한 E2E 시스템은 국제 표준에서 논의된 구조로, 5G 상용화를 위한 필수 기술로 인정된다.

SK텔레콤은 5G 기지국 간 연결에 이어 5G-LTE 핸드오버 기술까지 개발에 성공했다. 전국망이 구축되지 않은 5G 도입 초기 무선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

SK텔레콤은 알티오스타, SK텔레시스와 공동으로 5G 핵심 기술인 `소프트웨어 기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SDRAN)`도 시연했다. SDRAN은 이동통신 기지국에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 기지국 기능을 범용 정보기술(IT) 서버 내에서 가상화 소프트웨어(SW)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범용 IT 서버를 사용해 비용을 낮추고 가상화 특성을 활용, 기지국의 운영 효율을 높였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G-LTE 핸드오버와 SDRAN은 5G 상용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라면서 “두 기술 모두 5G 상용화 시점에 맞춰 실제 기지국 적용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주 통신방송 전문기자 ky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