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우주개발 6700억 투입…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확정

정부가 올해 우주개발 분야에 6703억원을 투입한다. 발사체 부품 국산화 등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도 확정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2일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계획을 수립했다.

한국형발사체 사업에는 2200억원을 지원한다. 시험발사 연기로 전년보다 예산이 500억원 가량 줄었다.

미래부는 “한국형발사체가 연기로 발생하는 총 사업비 조정 문제는 기획재정부와 협의 중”이라면서 “총 사업비는 예산을 일방적으로 삭감하는 것이 아니고 절감이 가능한지 종합적 검토가 필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우주센터 2단계 사업에는 205억원, 지난해 신규 착수한 달 탐사도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미국 NASA와의 협력 등 사업에도 710억원을 투입한다.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개발에 2184억원을 지원한다. 다목적실용위성 6~7호, 차세대중형위성 1호, 정지궤도복합위성 2A/2B호를 개발하고 올해 말에는 우주핵심기술 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를 위한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발사한다.

실무위원회는 우주개발 임무를 위해 필요한 중점기술과 개발 전략을 제시한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도 확정했다. 시급성, 경제성, 중요성 등을 고려해 선정한 200대 중점기술은 2030년까지 개발될 계획이다. △발사체엔진(55개) △위성탑재체(52개) △발사체본체(45개) △우주관측탐사(25개) △위성본체(23개) 기술 등이다. 미래부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출연연 주요사업 등 신규과제 기획에 이번 로드맵을 반영한다.

배태민 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위성, 탑재체에 들어가는 우주부품, 기술은 해외 의존도가 높고, 수입할 때 타국 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수입에 의존하는 우주 부품을 국산화할 수 있는지 주안점을 두고 200대 기술을 선정했고, 계획대로 진행되면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로드맵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산업체에서 우주개발을 하는데 이번 로드맵이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기존 우주기술 로드맵과 비교>


기존 우주기술 로드맵과 비교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