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새출발, 거버넌스 혁신]<2>주요국 4차 산업혁명 어떻게 대비하고 있나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독일,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이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중장기 행보에 속도를 낸다. 각국은 산업 구조의 장점을 살려 4차 산업혁명 시대 주도권을 잡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독일은 2011년 제조업 혁신을 위한 `인더스트리 4.0`을 기치로 내걸었다. 2012년에는 국가 첨단 기술 전략 10대 핵심 실행 계획에 인더스트리 4.0을 포함시켰다. 2013년부터 독일정보통신산업협회(BITKOM), 독일엔지니어링협회(VDMA), 독일전기전자산업협회(ZVEI)가 관련 프로젝트를 일제히 가동했다.

2015년에는 2기 격인 `플랫폼 인더스트리4.0` 도입으로 기존의 정책 보폭을 넓혔다. 플랫폼 인더스트리4.0은 인더스트리4.0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했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의 `다시 시작하는 인더스트리 4.0`에 따르면 독일은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에서 경제통상부와 교육과학부 주도 아래 관련 협회, 노조, 기업이 더 많이 참여해 정책을 보완했다. 시장에 적합한 연구·상용화를 목적으로 과제도 재설정했다. 정보기술(IT) 보안의 안전성을 높이는 연구도 강화했다.

독일은 최장 2035년까지 염두에 둔 장기 스마트공장 연구개발(R&D) 로드맵도 만들었다. 긴 호흡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은 기업을 중심으로 단기·실용 계획 실행에 초점을 맞췄다. 제너럴일렉트릭(GE)을 주축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IBM, 로크웰 등 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관심을 쏟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미국·독일·일본 스마트 팩토리 전략`에 따르면 GE 등 미국 기업은 기존의 사물인터넷(IoT) 연장선상에서 스마트공장을 이해한다. 당장 확보 가능한 사업 이익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미국 산업인터넷컨소시엄(IIC)은 개방형 혁신을 주창하며 세계 모든 기업에 문호를 개방했다.

일본은 `일본재흥전략 개정 2015·2016`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요 신성장 전략으로 간주하고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을 4차 산업혁명 핵심 분야로 설정했다. 이 분야에 2020년까지 30조엔 규모의 시장 수요가 일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은 AI에 무게중심을 뒀다. 4차 산업혁명 정보를 기반으로 AI가 스스로 생각해서 최적의 행동을 취함으로써 자율 최적화가 가능한 것으로 파악했다. 일본 정부는 2016년을 AI R&D 지원 정책 원년으로 삼았다. 경제산업성, 문부과학성, 총무성이 앞으로 10년 동안 1000억엔을 R&D에 공동 투자할 계획이다. 2020년까지 스마트공장 국제 표준화를 목표로 하고, 50개 첨단 활용 사례를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중국은 2015년에 발표한 `제조 2025(Manufacturing 2025)`를 축으로 장기 전략 실행에 들어갔다. 중국 `제조 2025`는 2025년까지 중국 제조업 수준을 세계 2강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핵심 목표다. 길게는 2045년까지 주요 산업에서 세계 시장 혁신을 선도하는 선진 경쟁력을 갖춘다는 청사진도 제시했다. 주요 제조업과 공정 과정에서 지능형생산시스템(IMS)을 구축하는 등 IT·제조업 융합이 바탕이다. 중국 계획에 따라 주요 분야의 공장·작업 현장에 핵심 공정 지능화, 로봇 핵심 노동력 대체, 생산 과정 지능화 등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