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iEVE2017] '신재생+ESS' 구축 투자비 회수 기간 줄일 수 있어요

제주=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제주=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신재생+ESS' 융합 산업에 따른 효과적인 수익성 분석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분석이 집중 조명받았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발전시스템과 ESS의 자생적 시장 창출을 위해 다양한 정부 인센티브 제도 등이 도입되고 있지만 시장 제도나 정책 지원이 언제까지 계속될 수 없는 만큼 융합 모델 적용 분야별로 장·단기적 전문 분석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슬기 전기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태양광 발전을 ESS에 저장했다가 방전하면 기존 REC에 부여했던 가충치가 5배 적용되거나 관련 요금 할인 등 투자비 회수 기간이 점차 앞당겨지고 있다”며 “하지만 급격한 정책 변화로 수익을 내는 요소가 다양해졌고 적용 방식도 상당히 복잡해 수익 분석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기연구원은 자체 분석을 통해 최적용량 설계와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법과 관련 프로그램을 마련 중이다. 이에 '태양광+ESS' 연계 기반 '발전 사업'과 전력 '수요관리(DR) 사업'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오히려 투자비를 줄이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수익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 연구원은 “크게 소비자 부하 분석과 태양광발전 발전량 분석, 수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 운전 전략에 따른 운영 수익성, 경제성과 최적용량 산정 등으로 구분해 시장에 접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체 분석결과 수요관리 사업은 현행 전기요금에도 투자비 회수까지 약 3.9년이 걸리지만 정책 변화에 따른 변수가 많아 장기간 수요 불확실성이 크다는 설명이다. 반면 발전 사업은 현행 SMP와 REC를 고려하면 투자 회수 기간은 수요관리 사업에 비해 더 오래 걸리지만 비교적 안정적이다. 여기에다 사업별로 운영 패턴이나, 기술에 따라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연구원은 “명확한 수치로 명시하긴 어렵지만 적용 분야에 따라 수익 모델이 다른 만큼, 투자자 입장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다”며 “프로슈머 등 다양한 분산자원을 활용한 사업모델 발굴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박태준 전기차/배터리 전문기자 gaiu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