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 특집]40년 과학기술 성과 사업화로 이끈다...초대형 산·학·연 허브 클러스터로 부상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우리나라 과학기술 역사가 시작된 심장부다. 2005년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됐지만 출발은 1974년 출범한 대덕연구단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곳은 바로 40여년 전 허허벌판에 세운 과학입국 기술자립의 꿈이 영근 곳이다. 1976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첫 삽을 뜬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30개에 이르는 정부출연연구소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한 5개 대학, 600여개 기업이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이들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을 토대로 한 고도 압축성장 덕분에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 경제규모를 달성할 수 있었다.

[연구개발특구 특집]40년 과학기술 성과 사업화로 이끈다...초대형 산·학·연 허브 클러스터로 부상

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특구 육성 특별법'에 의거해 지정·고시된 연구개발(R&D) 특화 구역이다. R&D 기반 창업과 사업화 중심지를 만들자는 취지로 도입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와 리서치트라잉앵글파크가 롤 모델이 됐다.

연구개발특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 기업을 연계한 기술사업화 토대가 됐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주요 R&D 성과를 사업화하고 연구 분야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 혁신 클러스터'를 지향한다. R&D 기능과 비즈니스 기능을 결합, 고도의 생산성을 발휘하는 방식이다.

연구개발특구는 대덕특구 성공모델을 기반으로 광주, 대구, 부산, 전북으로 확산됐다. 지역별 특화분야를 중점 육성하기 위한 포석이다. 각 특구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상호 협력해 새로운 혁신클러스터 모델을 정립해 나가고 있다.

연구개발특구 지역 분화는 2011년부터 시작됐다. 2011년 광주특구와 대구특구가 지정된 데 이어 2012년 부산특구가 출범했다.

대덕특구가 정보기술(IT) 융·복합, 바이오메디컬, 나노융합, 정밀기기에 특화했다면 광주특구는 차세대 광기반 융·복합, 친환경 자동차부품, 스마트그리드, 디자인 문화콘텐츠, 바이오소재 산업을 특화 산업으로 내세웠다.

대구특구는 스마트 IT 융·복합, 의료용기기, 소재 융·복합, 그린에너지 융·복합, 메카트로닉스 융·복합에 초점을 맞췄다. 2012년 출범한 부산특구는 지리적으로 바다에 인접한 장점을 내세워 조선해양플랜트 기자재와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및 서비스, 그린해양기계 분야로 특화했다.

전북특구는 융·복합 소재부품과 농·생명 융합을 중심으로 2015년 새로 지정됐다.

이들 전국 5개 연구개발특구는 총 4678개 기관·기업이 자리 잡은 거대 산·학·연 허브 클러스터로 성장했다. 2015년 기준 연구분야 106개 기관, 비연구분야 104개 기관, 4468개 기업이 입주했다. 연구기술직 종사자만 6만8000명을 상회하고, 생산직과 관리직 인력을 포함하면 18만명에 육박하는 인력이 상주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가 기술 사업화 거점으로 자리잡으면서 경제적 성과도 가시화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가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2005년 이후 2015년까지 10년 동안 이곳에서는 총 9만8729건 국내외 특허가 등록됐다. 특허출원건수는 21만900건에 달한다. 2015년 기술이전 건수는 2820건이었고, 총 810억원의 기술 이전 수입을 거뒀다.

전체 특구 입주기업 매출은 총 44조6900억원에 달한다. 대덕특구가 16조5958억원으로 가장 많은 가운데 광주특구 10조1547억원, 대구특구 8조6481억원, 부산특구 6조8621억원, 전북특구 2조4268억원이다.

5개 특구본부를 관장하는 헤드쿼터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김차동)이다. 특구진흥재단은 R&D 성과를 경제 성과로 이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 특구 내 연구소기업 설립을 독려, R&D 성과물과 비즈니스 영역 융합에 주력하고 있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이 지분 20%를 투자해 만든 기업이다. 2006년 2개 기업을 처음 설립한 이래 2014년부터 본격 확대, 현재 376개 연구소기업이 연구개발특구 R&D 성과를 사업화로 연결하고 있다. 연구소기업 설립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에만 179개 연구소기업이 신설됐다.

이들 기업이 거둔 2015년 매출은 2921억원에 달한다. 최근 5년간 연평균 47.6%씩 증가했다. 고용인력은 1194명으로 전년 대비 40.5% 증가했다.

대표적인 연구소기업으로는 콜마BNH를 꼽을 수 있다. 연구소기업 1호인 콜마BNH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항암치료 보조식품제조기술, 화장품 나노기술을 토대로 대박신화를 터뜨렸다. 건강기능식품과 고순도 화장품을 만들어 시가총액 1조원대 기업으로 성장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거둬들인 기술료 수입만 167억원 규모다.

13호 연구소기업 '미코바이오메드'도 주목받는 기업이다. 지난해 유럽에 500만달러 규모 제품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연구소기업 설립 이전부터 성장까지 전주기를 지원하는 특구재단 역할이 컸다. 특구재단은 비즈니스모델링과 공공기관 우수기술 및 민간기업 수요 발굴까지 지원한다.

유망 R&D 성과를 발굴하는 공공기술 사업화도 병행 추진한다. 출연연과 대학의 사업화 유망기술을 발굴해 수요기업에 이전 매칭하는 중간자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사업성이 높은 우수 공공기술에는 사업화(R&BD) 자금도 지원한다. 지난해 연구소기업 R&BD와 기술이전 R&BD에 지원한 예산만 각각 230억원과 312억원이다.

특구재단은 연구소기업 및 첨단 기술 기업의 기술 금융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특구펀드'도 조성했다. 2006년 이후 800억원 규모 특구펀드 1호를 조성한 데 이어 2012년부터는 1250억원 규모 특구펀드 2호를 조성해 운영하고 있다.

특구재단은 최근 R&D 성과물 사업화를 촉진해 특구를 우리나라 미래성장 선도지역으로 육성하는 내용의 비전을 제시했다. 연구소기업 설립을 가속화해 2020년까지 1000개로 늘린다. 설립 주체를 확대하고 지분율 요건을 완화하는 등 제도적으로 연구소기업이 좀 더 쉽게 설립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초기 연구소기업을 대상으로는 사업화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5년차 기업에는 금융·해외진출 지원 내용을 담은 'STAR 프로젝트'를 운영, 맞춤형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연구소기업 근간이 되는 공공기술 사업화도 촉진한다. 객관화된 데이터를 근거로 기술평가를 확대해 유망기술 발굴을 체계화한다.

투자 펀드를 다변화해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 창업 3년 이내 공공기술 창업 기업에는 '마이크로 VC펀드'를 통해 업체당 최고 5억원까지 지원한다. 5년 이하 성장단계 기업에는 '공공기술기반펀드'를 활용해 기업이 '죽음의 계곡'을 돌파할 수 있도록 돕는다.

창업 5년 이후 도약 기업을 위한 펀드도 조성한다. 내년 초 1000억원 규모 특구벤처펀드를 결성, 연구소기업이 개발한 제품 및 신시장 창출에 투자할 계획이다.

5개 특구가 보유한 유망기술을 다른 특구 지역 기업과 매칭하는 '특구간 연계·협력'도 강화한다.

김차동 특구재단 이사장은 “연구개발특구는 40년에 걸친 우리나라 R&D 성과를 수확해 새로운 40년의 경제 성과를 창출하게 될 곳”이라면서 “앞으로 연구소기업이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대전=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및 위치, 특화분야>


연구개발특구 지정현황 및 위치, 특화분야

< 연구개발특구 입주기관 현황(개)>


 연구개발특구 입주기관 현황(개)

<연구개발특구 인력 현황(명)>


연구개발특구 인력 현황(명)

<연구개발특구 국내외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건)>


연구개발특구 국내외특허 출원 및 등록 현황(건)

<연구개발특구 연구개발비 현황>


연구개발특구 연구개발비 현황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체 매출 현황>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체 매출 현황

<연구소기업 설립현황(개)>


연구소기업 설립현황(개)

<연구소기업 매출 현황>


연구소기업 매출 현황


김영준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