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성큼 다가온 친환경차...R&D·인프라 확보가 핵심

친환경차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기술 과시형 미래차를 넘어 현재의 '탈 것'으로 빠르게 우리 앞에 오고 있다. 친환경차는 자율주행자동차와 함께 미래 스마트카 시대를 대표하는 키워드다. 친환경차에서 주도권을 잡아야 미래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다.

[사설]성큼 다가온 친환경차...R&D·인프라 확보가 핵심

오는 31일 개막하는 '서울 모터쇼'는 친환경차 경연장이 될 전망이다.

전체 전시 차종 243종 가운데 50종이 친환경차다. 수소전기차(FCEV) 3종, 전기차(EV) 13종, 하이브리드차(HEV) 23종,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10종, 천연가스차(CNG) 1종 등이다.

현대차는 그랜저IG 하이브리드, 기아차는 니로 PHEV 버전을 각각 공개한다. BMW는 주행 거리가 200㎞까지 늘어난 순수 전기차 'i3 94Ah'와 함께 올해 출시할 PHEV인 'X5e' '330e'를 선보인다. 벤츠도 PHEV 2개 모델을 전시한다.

주요 제조사도 디젤·가솔린차보다 친환경차 개발에 속도를 낸다. 아직 판매량은 적지만 세계 이산화탄소 감소 정책에다 주요 국가의 친환경차 보조금 확대까지 맞물리면서 친환경차 도입은 속도가 붙었다.
새 기술은 일단 방향이 정해지면 속도가 문제일 뿐 대체로 방향성은 유지된다. 친환경차 대응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항목이다. 우리 기업과 정부도 친환경차 확산에 더 비중을 높여야 한다. 최근 현대·기아차가 전기차를 포함해 다양한 친환경차 우선 정책을 펴는 것은 고무적이다.

국제전기차엑스포 내 르노삼성 전시부스 모습. 관람객이 초소형 전기차 트위지를 살펴보고 있다.
국제전기차엑스포 내 르노삼성 전시부스 모습. 관람객이 초소형 전기차 트위지를 살펴보고 있다.

친환경차 대응의 핵심은 역시 연구개발(R&D)과 충전 인프라 확보다. 기업은 전기차 배터리 용량을 키우고 엔진이 아닌 모터에 최적화된 자동차 설계까지 감안해야 한다. 수소전기차는 앞으로도 기술 보강이 많이 필요한 분야다. 정부는 이용자 불편을 줄이기 위한 충전기 확보에 우선 집중해야 한다. 재원이 한정돼 있는 만큼 친환경차 보조금을 잘 배분하는 일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