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드론 잡는 '안티 드론' 관련 특허 출원 증가세

#2015년 4월 22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관저 옥상에 소형 무인기(드론)가 떨어졌다. 그런데 드론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범인은 정부 원전 정책에 항의하는 의미로 이 드론을 날린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앞서 1월 26일에는 미국에서 술에 취한 정보 기관 요원이 날린 드론이 백악관에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드론 사고나 드론을 이용한 위협이 확산되면서 '안티 드론' 관련 특허 출원이 늘어나는 추세다.

특허청은 2013년 한 건에 불과했던 안티 드론 특허 출원 건수가 2014년에 9건으로 늘어난데 이어 2015년에는 17건, 2016년에는 19건으로 매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안티 드론은 테러, 범죄, 사생활 영역 침입, 감시 등 문제가 되는 나쁜 드론을 무력화할 목적으로 만든 드론이다. 특정 공역에 들어온 소형 물체를 레이더나 무선통신 인지 방식으로 탐지, 승인되지 않은 드론으로 파악되면 전파교란(Jamming) 등으로 무력화 시킨다. 드론과 조종자 간 무선신호 전파를 방해해 떨어지거나 날아왔던 곳으로 되돌려 보내는 방식이다.

출원 주체별로 분류하면 개인 및 중소기업 출원이 전체의 63%(29건)로 가장 많았고, 대학교 15%(7건), 정부출연연구소 13%(6건), 대기업 9%(4건) 순으로 조사됐다.

안티 드론 분야 중 핵심 기술인 드론 무력화 기술은 최근 4년 간 총 12건(누적)이 출원됐으나, 미국은 같은 기간 우리나라보다 5배 많은 60건이 출원됐다.

이는 국내 기업의 안티 드론 기술 개발과 시장 진입이 글로벌 기업과 비교해 아직 활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데다 국내 전파법상 군이나 일부 인프라 시설을 제외한 민간에서 행해지는 전파교란 행위를 불법으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신성장 산업에 대한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유하게 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최봉묵 특허청 통신네트워크 심사 과장은 “북한으로부터의 군사 스파이와 테러 위협, 산업 스파이로 인한 위험 요소를 폭넓게 안고 있는 우리나라로서는 안티 드론 기술 개발의 시급성이 매우 높다”면서 “법령을 정비해 규제를 완화하고 정책적인 지원으로 안티 드론 기술 개발 여건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