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기술이전 활성화로 창업 효율 높여야

정부출연연구소나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에서 개발한 공공기술로 창업한 기업의 생존율이 일반 창업기업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국회입법조사처에 제출한 자료 내용이다. 일반 창업기업은 3년이 지나면 절반 이상이 문을 닫지만 공공기술 기반 창업 기업은 90% 이상이 살아남는다고 한다. 2015년 기준 수치다. 창업 5년차가 되면 일반 창업기업 생존율은 27%로 더 떨어지지만 공공기술 기반 창업 기업은 생존율 89.7%를 유지했다.

국가 주도로 개발한 기술은 고난도 기술이 많다. 특히 민간 중소기업은 쉽게 접근하기 어렵지만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 기술이 많다. 일단 사업화에 성공하기만 하면 빠르게 안정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이다.

더구나 공공기술을 사업화하면 다양한 지원 정책이 뒤따른다. 출연연이나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은 민간기업에 기술을 이전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연구원 창업과 연구소기업 설립 등 자체 창업도 유도하지만 개발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기 위해 노력을 많이 한다.

하지만 아직은 공공기술 기반 창업 기업 비중이 전체 창업 기업의 0.03%에 불과할 정도로 미미한 실정이다. 출연연 등이 민간에 이전하기 위해 내놓은 기술은 넘쳐나지만 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민간기업이나 예비 창업자는 많지 않다.

효율 높은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R&D 성과를 사업화로 이어가는 활동을 늘려야 한다. 공공연구기관 종사자나 개발에 참여한 학생의 자체 창업과 더불어 더 많은 기술이전이 이루어지도록 민간에 알리는 작업이 필요하다. 출연연 등이 기술이전에 더 적극 나설 수 있도록 기술이전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것도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