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4차 산업혁명시대, 불확실성 걷어내야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치권의 논의가 사라졌다. 정부도 조용하다. 탄핵 정국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안보와 외교 등 급한 불부터 꺼야 하는 상황이니 어쩌면 당연하다.

그러나 걱정이다. 우리가 시간을 흘려보내는 사이에 미국, 독일 등 선진국들은 국가 차원의 전략 수립을 세우고 산업 생태계 선순환 환경 구축에 들어갔다. 우리는 아직 현실에 맞춘 전략 컨센서스도 도출하지 못했다. 세계경제포럼(WEF·일명 다보스포럼) 평가에서 한국은 4차 산업혁명 적응 지수 20위권 밖으로 밀렸다.

글로벌 정보기술(IT) 대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 유관 스타트업을 대거 사들이고 있다.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니즈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스타트업은 무모한 경쟁보다 실리, 대기업은 지엽 차원의 기술 개발보다 큰 틀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각각 택한 것이다. 미국과 독일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춘 정부 주도의 대·중소기업 협업 정책도 내놓고 있다.

대·중소기업을 막론하고 우리 기업의 고민은 깊어만 간다. 정부가 구상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울리는 산업 정책의 윤곽이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 정책과 결을 맞추지 않으면 추진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깔려 있다. 우리 기업과 산업 환경은 정부의 산업 정책에 크게 좌우된다. 앞으로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1960년대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이후 지금까지는 그랬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연결'이다. 밸류체인이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으로 묶이며 시너지를 창출한다. 정부기관, 대기업, 중소벤처 간 협업도 중요한 연결 요소의 하나다. 경제 산업 주체들이 대척점에 서기보다 방향성이 비슷해야 실패를 줄일 수 있다.

대기업은 정부만 쳐다보고 중소기업은 대기업 눈치만 살피는 상황은 최악이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부의 방향성이 빨리 잡혀야 하는 이유다. 물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성장과 투자 주체는 기업이지만 정책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한 기업은 쉽게 움직이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