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中 배터리원료 전략화 가능성 대비해야

중국이 자국 자동차 동력의 '전기화' 수요에 따라 배터리 전략을 수정하면서 예기치 못한 초강력 변수가 등장했다.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육성 계획을 버리고 성능이 뛰어난 리튬이온 배터리로 갈아타면서 필수 원료인 코발트 수급에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했기 때문이다.

당장 코발트 국제 거래 가격이 갑절 이상으로 치솟고, 중국 배터리 생산 확대에 따라 코발트 확보가 앞으로 더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일본과 함께 세계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을 주도하고 있는 우리나라로선 심각한 잠재 위협이 될 수 있는 사안이다.

코발트는 리튬계 배터리 전체 생산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0% 안팎이지만 현재 기술로는 대체할 수 있는 원료가 없다. 이에 따라서 이미 약 100% 상승한 코발트 국제 거래 가격이 또 갑절만 올라도 한국 배터리 기업은 원가 경쟁력에서 중국의 배터리 전략 전환 이전보다 약 40%의 경쟁력 추락이 불가피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중국이 희소 금속 수출 금지 조치로 일본 소재·부품 산업 전체를 위협하던 몇 년 전의 상황이 떠오르는 대목이다. 중국이 앞으로 아프리카 등지에서 확보한 코발트를 볼모로 하는 한국 수요 물량의 전략 조절 가능성도 존재한다.

현재 최적화된 기술을 새로운 원료로 대체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시간이 흐른다고 해서 그 원료만큼 배터리 효율을 낼지도 불분명하다.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로선 배터리 산업의 가동 안정화를 위한 원료 확보와 가격 안정이 가장 요긴하다. 이 문제는 개별 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일이다. 정부가 산업·통상 라인을 빨리 꾸려서 이 문제에 대처할 때 기업 피해의 여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중국 정부와의 협의 채널을 가동해 양국의 기술 협력을 통한 원료 확보 안정화 방안을 마련하고, 나아가 안정된 국제 공급처까지 확보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을 성공시키려면 희소 자원 외교가 절박하다.

<전자신문 DB>
<전자신문 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