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미생물로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극물질 제조기술 개발

미생물로 만든 황화비소 나노물질의 독특한 구조적 특성에 따른 리튬이온과의 반응 메커니즘.
미생물로 만든 황화비소 나노물질의 독특한 구조적 특성에 따른 리튬이온과의 반응 메커니즘.

국내 연구팀이 미생물을 이용해 상온에서 리튬이온 전극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구조 문제인 배터리의 수명 감소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총장 문승현)은 허호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가 김민규 포항가속기연구소 박사와 공동으로 '슈와넬라(HN-41)'라 불리는 미생물을 활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전극 물질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허호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허호길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해남의 공룡 발자국 퇴적층에서 발견된 슈와넬라 미생물은 독성이 큰 비소를 황화비소라는 노란색 침전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침전 물질은 수 마이크로미터(㎛) 나노 튜브 성상의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으며, 반도체 특성을 보인다.

연구팀은 비소 원자 4개와 황 원자 4개가 결합된 새장 모양의 분자로 구성된 황화비소 나노물질의 독특한 구조 특징에 주목, 리튬이온전지 물질로의 활용성 연구를 진행했다. 느슨한 황화비소 분자 공간에 리튬이온이 자유롭게 끼어들어 황과 결합·저장되면서 에너지 저장 및 변환 물질로 재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기존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환경에 유해한 산화제나 환원제를 합성하기 위해 고온·고압이 필요하고, 부피가 팽창해 합성 물질이 부서지면서 전극에서 떨어져 나가는 등 배터리 수명 감소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번 연구 성과는 미생물로 상온에서 저비용 및 환경 친화형 리튬이온 전극 물질을 대용량으로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허호길 교수는 “리튬이온이 충·방전되는 과정에서도 안정된 분자 구조로 이차전지의 메커니즘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앞으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친환경 저비용 생물 합성 연구에 초석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광주=김한식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