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졸음운전 사고, 디지털 인프라로 해결하자

[ET단상]졸음운전 사고, 디지털 인프라로 해결하자

최근 버스나 트럭 등 전문직 운전자의 졸음운전으로 대형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운전 근무 시간을 줄이는 등 다양한 규제 및 제도를 적용하는 정책이 제정되고 있지만 근본 해결책이 될지는 미지수다.

한편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 기술을 버스나 트럭에 적용하면 사고를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재 자율주행차 기술 수준으로는 어림도 없다. 졸음운전 시 차량이 스스로 주행하면서 주변 차량과의 사고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기술은 제3, 4단계 자율주행차 도입이 예상되는 2025년 이후에나 가능하다.

차량마다 부착해야 하는 레이더, 라이다, 비전 인식 등 수억원의 센서 가격이 수백만원대로 낮아져야 모든 차량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방법은 없을까. 그 대안이 디지털 인프라다. 다시 말하면 도로를 디지털화하는 것이다.

그동안은 차량이 도로 주행 때 운전자가 도로의 모든 것을 인지하고 반응해야 했다. 차선, 노면 상태, 도로 표지판, 교통 정보판, 공사 구간, 교차로, 진출입 구간 등이다. 또 운전자는 주변 차량의 주행 상황도 모두 인지하고 대응해야 했다. 앞 차량의 급정거, 옆 차량의 차로 급변경, 뒤 차량의 급속 접근 등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하는 방어 운전을 대표로 들 수 있다.

자율 주행 시대가 되면 사람이 아닌 기계, 즉 차량이 운전자가 수행한 모든 인지와 반응을 대행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에서 지적한 대로 차량마다 수억원의 센서를 부착해야 한다. 그 대신 디지털 인프라가 되면 도로 인프라가 차량이 해야 할 기능의 상당 부분을 협력, 지원할 수 있다.

도로에 센서를 부착하고 도로 표지나 교통 정보, 고정밀 지도 등을 차량·도로간통신(V2X) 초연결성을 통해 디지털로 전송하면 수백만원 정도의 단말기만으로도 모든 차량이 수억원대의 제3, 4단계 자율주행차와 유사한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운전자가 잠시 졸음운전을 해도 도로 인프라가 차량과 협력, 대형 사고를 막음으로써 사망이나 치명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otto의 자율주행 트럭. 출처=otto
otto의 자율주행 트럭. 출처=otto

디지털 인프라 구축에는 얼마나 많은 비용이 들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자율주행차 1대에 들어가는 수억원대의 센서 가격으로 도로 1㎞에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 고속도로 전 구간인 약 4000㎞에 구축되는 디지털 인프라 비용은 자율주행차 약 4000대 가격과 비교된다. 여기에 국도를 포함한 자동차 전용도로 전 구간인 약 2만㎞에 드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비용은 약 2만대 가격인 6조원 정도로 예측할 수 있다.

최근 제2 경부고속도로로 불리는 서울-세종 고속도로가 주목받고 있다. 정부 재정 사업으로 추진한다는 발표에 일부에서 민자 사업을 주장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건설비다. 총131.6㎞ 건설에 7조5000억원이 투자된다. 토지보상비를 제외하고 순수 건설비만 따져도 6조2000억원으로, ㎞당 단가는 약 470억원 규모다.

세세한 내역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그 가운데 약 1%는 디지털 인프라 구축비용이 포함됐으리라 기대한다. 아니면 지금이라도 디지털 인프라 구축비용을 포함시켜야 한다. 일부 운전자의 졸음운전이 있어도 이 도로에서는 더 이상 교통사고와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길 바라기 때문이다.

1970년대에 건설된 경부고속도로가 지역을 연결하는 중추 도로 인프라 역할로 경제 성장 5개년 계획의 기반 산업을 부흥시킨 것처럼 2025년에 완전 개통될 제2 경부, 즉 서울-세종 고속도로는 디지털 인프라로 연결돼 자율 주행 기반의 4차 산업을 부흥시키는 견인차가 되기를 기대한다.

문영준 한국교통연구원 교통기술연구소장 yjmoon@kot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