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석탄 빠지면 신재생 REC 누가 사나

정부 탈원전·탈석탄 정책이 신재생에너지 사업 수익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최대 구매자인 원전과 석탄화력 사업자가 발전량 감소만큼 REC 구매를 줄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원전·석탄 빠지면 신재생 REC 누가 사나

【사진1】15일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가 탈원전·탈석탄 정책을 발표한 이후 발전 업계에 REC 공급 과잉 가능성이 점쳐진다.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량은 줄어드는 반면에 신재생 발전량은 빠르게 늘어나면서 REC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분석된다.

설비 감축으로 원전과 석탄화력 발전이 줄어들면 사업자의 신재생 의무 총량은 그만큼 계속 감소한다. 반대로 자체 신재생 발전량이 늘어나면 특정 시점에선 REC 거래가 불필요해진다.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생산한 전력을 도매시장가격(SMP)으로 판매한 수익과 공급인증서를 발전사업자 등 의무사업자에게 판매해 얻는 수익으로 유지된다. 최근 SMP는 ㎾h당 80원대, REC는 ㎾h 환산 시 약 125원이다. 신재생 전체 수익에서 REC 판매 수익이 발전전력 판매수익보다 높다.

국내 REC 최대 구매사업자는 한국수력원자력과 발전 공기업 5개사다. 한 해 전체 발전량의 일정량을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하는 제도 특성상 국가 전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6개사가 최대 구매자가 될 수밖에 없다. 이들은 올해도 전체 발전량의 4%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해야 한다.

발전 업계가 REC 공급 과잉을 예상하는 이유는 지금을 공급과 수요가 맞는 시점으로 파악하기 때문이다. 시중의 REC가 발전사 구매 의무량과 비슷해지면서 현물 가격이 12만~15만원 박스권을 형성했다는 분석이다. 앞으로 원전과 석탄화력이 지속 감소하고 신재생이 늘어나면 공급량 증가로 인한 가격 하락 신호가 올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올해 들어 REC 가격은 조금씩 떨어지는 모습이다. 지난해 12월 16만원 수준이던 현물 가격은 올해 8월 10일 기준 12만원대를 기록했다. 아직은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면서 박스권 가격을 형성했지만, 일각에선 2년 동안 상승하던 가격이 하락 곡선을 그렸다는 것에 주목했다.

정부는 발전사업자의 신재생 의무할당량을 늘린 데다 국가 발전총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어 의무 비율도 매년 높아져 REC 수요가 계속 유지될 것으로 봤다.

신재생 의무 비율은 내년 5%, 2019년 6%, 2020년 7%에 이어 2030년 28%를 달성한다는 게 정부의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원전과 석탄 설비는 줄지만, 대신 LNG 발전이 추가될 예정이고 국가 총발전량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의무량 확대와 함께 REC 거래량도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업계는 다수의 신재생사업에 발전 공기업이 참여하고 있고 원전과 석탄화력 총 발전량이 줄어드는 만큼 민간사업자의 REC가 불필요해지는 순간이 생각보다 빨리 올 것으로 예상했다. 발전 6사는 앞으로 2년 동안 3조7000억원을 투자, 대규모 신재생 설비를 확충할 계획이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