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국가책임제' 구현, 대규모 R&D 기획단 꾸린다

치매R&D 예비타당성조사 준비 분과위원회 명단
치매R&D 예비타당성조사 준비 분과위원회 명단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국내 치매 환자 현황 및 전망

'치매 국가책임제' 구현을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R&D) 과제가 추진된다. 원인 규명부터 돌봄 서비스까지 치매 전 영역을 아우르는 국책 과제다. 분야별 전문가를 총동원해 기획연구단을 구성, 모든 R&D 전략 수립을 일원화한다.

13일 정부기관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는 국가 치매 연구개발위원회를 구성해 R&D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공식 발족은 20일이다.

치매 국가책임제 관련 R&D는 전략 수립을 총괄하는 '국가 치매 R&D위원회'와 '치매R&D 예비타당성조사 준비 분과위원회'로 나눠 운영된다.

국가 치매 R&D위원회는 '치매 국가책임제'를 구현할 R&D 전략 방향성 정립과 검토가 주 역할이다. 궁극으로는 치매 정복을 위해 확보해야 할 원천 기술, 응용 서비스 등을 논의한다. 단순 자문을 넘어 산별 차원에서 이뤄지던 치매 R&D의 한계를 해소하는 역할도 한다. R&D 기획, 설계, 모니터링 등 집행 기능을 제외한 '컨트롤 타워'가 된다.

묵인희 서울대의대 생화학교실 교수
묵인희 서울대의대 생화학교실 교수

위원회 총괄은 묵인희 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 교수가 맡는다. 20여 년 동안 알츠하이머 치매를 연구한 전문가다. 이동영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이재홍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정용 KAIST 바이오뇌공학과 교수, 최영식 한국뇌연구원 뇌질환연구부장, 김문상 광주과학기술원(GIST) 헬스케어로봇센터장 등 15명이 참여한다. 김정원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 양성일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이 위원으로 활동한다.

치매R&D 예타조사 준비 분과위는 과제 설계를 맡는다. △원인 규명 및 예방 △혁신형 진단 △맞춤형 치료 △체감형 돌봄 등 4개 분과로 운영된다. 임상의, 기초의학연구자,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대표 등 40여명이 위원으로 위촉됐다.

이재홍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중심이 된 원인 규명 및 예방은 치매 원인을 규명한다. 치료제와 조기 발견 역량 확보의 출발점이 된다. 이동영 서울대 의대 교수가 이끄는 혁신형 진단 분과는 혈액을 통한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 등 진단 영역 원천 기술 확보 R&D를 설계한다.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교수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치료 분과는 나이, 기저 질환, 환경, 뇌 단백질 축적 정도 등에 따라 개인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는 원천 기술 개발을 설계한다. 김기웅 서울대 의대 교수의 체감형 돌봄 분과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 돌봄 서비스 개발 전략을 수립한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예타준비 분과위는 네 가지 영역을 아우른 국책 과제를 내년 상반기에 제시할 예정이다. 2019년도 예산안에 반영한다는 목표다.

묵인희 국가 치매 R&D위원장은 “치매 요양 시설 등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지만 근본 해결책은 치매 원인 규명과 조기 진단, 치료제 개발”이라면서 “치매 국가책임제 구현을 위한 R&D 종합 전략을 수립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우리나라 65세 이상 치매 환자 수는 지난해 기준 68만5739명으로 집계된다. 전체 65세 이상 노인의 약 10%다. 2021년에는 88만명까지 늘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적으로 치매 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원인 규명은 물론 원인 치료제도 없다.

국내 치매환자 현황 및 전망
국내 치매환자 현황 및 전망

묵 위원장은 “가장 중요한 R&D 확보를 위해 원인 규명, 진단, 치료, 돌봄 등 전 영역에 정교하고 필요한 R&D 전략을 짜겠다”면서 “4차 산업혁명 핵심인 ICT도 접목, 기술 간 융합을 통한 혁신을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전자신문 CIOBIZ] 정용철 의료/SW 전문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