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5주년 특집 Ⅱ]퍼스트무브 '서비스'<3>디지털 교육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는 기술뿐만 아니라 사회와 문화까지 바꾸는 디지털 변환을 가속화한다. 디지털 교육 역시 새로운 트렌드로 각광받게 된다.

디지털 교육의 형태로는 △클라우드 기반 이러닝 △게임 기반 러닝 △학습기록 분석을 통한 개별화 러닝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한 소셜러닝 △인공지능을 통한 딥러닝 △학습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클립 기반의 바이트사이즈드(Bite-sized) 러닝 △비디오 기반 러닝 △실감형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러닝 등으로 다양하다.

다양한 디지털 교육으로 초·중·고교에서는 학생 이해도를 높이고 창의성을 발굴한다. 개개인 역량을 발굴하는 교육 형태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대학과 평생교육에서도 디지털 교육을 통해 더욱 심화된 콘텐츠를 전하고, 깊이 있는 사고를 돕는다. 한국에서도 미국 스탠퍼드대 유명 교수 강좌를 온라인으로 들을 수 있는 온라인공개강좌(MOOC·무크)가 이미 대학교육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디지털 교육 활성화를 위해 에듀테크산업 발전이 필요하지만 한국에서는 이를 뒷받침할 제도나 인프라, 산업이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곽덕훈 시공미디어 부회장은 “전 세계가 디지털 교육을 새로운 미래 지식 서비스 산업으로 보고, 에듀테크 산업으로서 관심을 갖고 육성한다”고 말했다. 곽 부회장은 “우리가 교육을 산업 관점에서 보는 것을 금기시하지만 유럽 등 선진국들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융합 관점에서 교육을 미래의 중요한 서비스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내 초중고교에서는 학생이 학습 과제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도 시험점수 1점 올리는 것을 더 중요한 것으로 여긴다. 디지털 인프라가 책을 통한 학습을 방해하고 게임이나 소셜미디어 등에 빠지게 한다는 시각까지 있다. 이 때문에 디지털교과서나 무선인터넷 같은 디지털 교육 인프라 구축도 쉽지 않다.

디지털교과서는 지난 2008년 연구학교부터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이제야 연구학교를 벗어나는 수준이다. 2016년 기준 초등학교 무선인터넷 환경은 전체 11% 정도만 구축됐다.

우리나라 교육 분야에서 ICT 활용도는 OECD 국가 중 한참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OECD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ICT 장비와 인터넷 활용은 64개국 중 48위, 가정에서의 ICT 장비와 인터넷 활용은 64 개국 중 22위 수준이다. IT 경쟁력으로 2000년대 세계 1~2위를 다퉜던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다. 여전히 디지털교육은 수능을 비롯한 각종 교육 정책에서 우선순위가 밀리는 형국이다.

뒤늦게 우리 정부도 세계 트렌드에 발맞춰 다양한 교육 형태를 시도하고 있다. 온라인을 활용해 교사에서 학생중심 교육으로 바꾸는 플립러닝은 '거꾸로 교실'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고 있다. 2015 교육과정에 맞는 디지털교과서를 개발, 보급을 준비하고 있다. 무선인터넷 환경도 일선학교에만 맡기지 않고 특별교부금 등을 통해 학교당 몇 개 교실이라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교육부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초·중학교에 무선랜(와이파이)과 태블릿PC를 보급하는 등 디지털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전자신문 DB>
교육부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초·중학교에 무선랜(와이파이)과 태블릿PC를 보급하는 등 디지털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전자신문 DB>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교육 패러다임 전환에는 한참 못 미친다는 지적이 압도한다. 학생들이 실감형 콘텐츠를 통해 해당 과목 이해도를 높이는 차원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틀 자체를 바꿔야 한다. 패러다임 전환은 디지털 교육이라는 수단이 있어야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는 민·관이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교사나 학생이 쉽게 콘텐츠를 접할 수 있도록 교육 클라우드를 활성화해야 한다. 교육 패러다임 전환에 필요한 도구를 공급할 수 있는 스타트업도 육성해야 한다.

노규성 한국디지털정책학회장은 “청소년 직업 교육을 일례로 든다면 정부는 소프트웨어 교육과 학점인증제 같은 제도 개선을 하고, 민간에서는 미래 직업 교육을 위한 신서비스를 창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교실의 디지털 혁명을 위해 필수적인 교육 콘텐츠 클라우드도 오픈 마켓 형태로 민관이 협력해야만 조성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나라 에듀테크 경쟁력이 뒤떨어진다지만 민관이 협력하면 교육에서도 한류 열풍을 일으켜서 수출 산업으로까지 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