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소물인터넷 포트폴리오 완성···'Cat.M1' 상용화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의 소물인터넷(IoST) 마지막 기술인 'LTE Cat.M1(이하 Cat.M1)'을 상용화한다. IoST는 저전력·광대역(LPWA)이 특징인 사물인터넷(IoT)의 한 종류다.

삼성전자는 최근 이통 3사의 요청으로 기지국에 설치할 Cat.M1 지원 소프트웨어(SW)를 개발하고 있다. 조만간 이통 3사의 테스트베드에 설치, 필드 테스트를 진행한다. 연내 전국 네트워크에 설치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로라와 NB-IoT, LTE-M에 이어 Cat.M1을 활용, 다양한 서비스 발굴·확대는 물론 IoST 시장 성장에 전기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eMTC(enhanced Machine-Type Communication)'로도 불리는 Cat.M1은 주파수 1.4㎒ 폭을 사용, 최고 1Mbps 속도를 낸다. 다량 접속이나 이동형 기기, 중요 자산 추적 서비스 등에 적합하다. 현재 이통사가 쓰는 LTE-M을 경량화하고, 동시에 NB-IoT의 강점인 '저전력'을 추가했다.

이통 3사는 Cat.M1 상용화로 IoST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 SK텔레콤은 로라와 Cat.M1 및 LTE-M,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와 Cat.M1 및 LTE-M이다. 용량, 속도, 서비스 종류에 따라 기술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사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 소물인터넷(IoST) 기술 중 마지막 남은 'LTE Cat.M1(이하 Cat.M1)' 상용화에 나섰다. 시장 활성화 채비를 마친다는 의미도 남다르지만 고객 선택의 폭과 서비스 확대에 거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SK텔레콤 로라를 적용한 서비스 시연 모습.
이동통신사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 소물인터넷(IoST) 기술 중 마지막 남은 'LTE Cat.M1(이하 Cat.M1)' 상용화에 나섰다. 시장 활성화 채비를 마친다는 의미도 남다르지만 고객 선택의 폭과 서비스 확대에 거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SK텔레콤 로라를 적용한 서비스 시연 모습.

Cat.M1 서비스를 제공할 주파수는 각 이통사 전국망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800㎒, KT는 1.8㎓를 각각 사용한다. KT와 LG유플러스는 NB-IoT를 서비스하는 대역에서 Cat.M1도 동시 제공한다.

상용화 시점은 내년 초다. Cat.M1을 지원하는 칩과 모듈이 출시됐기 때문에 조만간 단말도 출시될 전망이다. 지난해 LTE-M과 로라에 이어 올해 NB-IoT, 내년 Cat.M1이 상용화되면 IoST 시장 성장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통사 관계자는 “Cat.M1은 IoST 후보 기술 가운데 하나로, 내년 상용화가 예상된다”면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해져 선택폭이 넓어지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동통신사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 소물인터넷(IoST) 기술 중 마지막 남은 'LTE Cat.M1(이하 Cat.M1)' 상용화에 나섰다. 시장 활성화 채비를 마친다는 의미도 남다르지만 고객 선택의 폭과 서비스 확대에 거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KT NB-IoT 베타테스트 모습.
이동통신사가 롱텀에벌루션(LTE) 기반 소물인터넷(IoST) 기술 중 마지막 남은 'LTE Cat.M1(이하 Cat.M1)' 상용화에 나섰다. 시장 활성화 채비를 마친다는 의미도 남다르지만 고객 선택의 폭과 서비스 확대에 거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KT NB-IoT 베타테스트 모습.

정부의 기술 기준도 관심사다. 이에 앞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NB-IoT 상용화 지원을 위해 주파수 대역·폭, 간섭 방지 대책, 출력 등을 담은 기술 기준을 개발했다. Cat.M1도 주파수 폭이 1.4㎒나 기술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SK텔레콤은 과기정통부에 Cat.M1 등 IoST 기술을 설명하고 협력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면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표〉소물인터넷 포트폴리오

이통사, 소물인터넷 포트폴리오 완성···'Cat.M1' 상용화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