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영국·체코·세네갈 3개국 정상과 연쇄 양자회담...'북핵외교·평창올림픽 홍보' 주력

유엔총회 참석 차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테레사 메이 영국 총리와 밀로쉬 제만 체코 대통령,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 등과 순차적으로 만나 양자 정상회담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북핵 문제의 국제 공조와 지원을 구하고, 상대국과 협력관계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 요청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테레사 메이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테레사 메이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가장 먼저 메이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 문제와 관련해 영국이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안보리 결의 채택·이행 과정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이에 메이 총리는 “북핵·미사일 위협은 동북아뿐만 아니라 세계 평화와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며 “국제사회가 단합해 이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양국 정상은 안보리를 중심으로 북한의 도발에 단호하게 대응하면서 북핵 문제가 평화적인 방식으로 근원·포괄적으로 해결될 때까지 긴밀히 협력하고 소통하기로 했다. 한영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양국 간 교역·투자가 확대되는 데 협의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평창동계올림픽에 앤 공주(엘리자베스2세 자녀)가 방한하는 데에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앤 공주는 IOC 위원 자격으로 방한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제만 체코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는 “북한의 도발에 국제사회가 단합해 강력히 대응하는 동시에 북핵 문제가 평화적 방식으로 근원적·포괄적으로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밀로쉬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밀로쉬 제만 체코 대통령과 정상회담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만 대통령은 “체코가 EU(유럽연합)를 포함한 국제무대에서 필요한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체코 대표팀의 평창동계올림픽 선전을 기원하면서 “1988년 서울 올림픽이 냉전을 종식하는 계기를 마련했듯이 평창동계올림픽도 인류의 평화를 증진하는 의미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국 정상은 2015년에 맺은 한·체코 전략적 동반자 관계 속에서 바이오·인공지능·ICT 등 신산업 분야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기 위한 호혜적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마지막 양자 정상회담 상대로 살 세네갈 대통령과 만나 국제무대에서 우리의 입장을 지지해 온데 사의를 표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아프리카 국가와의 첫 정상회담이다.

살 대통령은 “앞으로도 한반도 정세화 관련해 한국의 입장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으로서 유엔 안보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포함해 북핵 문제 대응에 적극 협력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현지시간)일 뉴역 유엔본부에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한복입은 수호랑 반다비를 선물하며 평창동계올림픽의 참여를 요청했다. <사진: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19(현지시간)일 뉴역 유엔본부에서 마키 살 세네갈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한복입은 수호랑 반다비를 선물하며 평창동계올림픽의 참여를 요청했다. <사진:청와대>

문 대통령은 세네갈의 경제사회개발 청사진을 담은 '세네갈 도약계획'의 성공을 기원하고 농업·교육·보건·인프라 등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을 증진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살 대통령은 “한국의 자동차, 휴대폰 등이 세네갈에서 인기가 많고 한국의 단기간 발전상을 세네갈의 중요한 모델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기후변화 주요국 정상급 대화에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탄소를 많이 배출해 온 선진국들이 더욱 무거운 책임감으로 적극적인 의지를 가져야 할 것”이라며 “한국은 아시아 최초로 전국 단위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했고 이미 전체 배출의 2/3에 해당하는 기업이 참여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신재생에너지 정책 확대도 언급했다. 그는 “한국은 석탄 화력과 원전 의존도를 점차 줄여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20%까지 높일 것”이라며 “한국에 있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와 녹색기후기금을 통해 개도국 지원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성현희 청와대/정책 전문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