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벤처단체협의회, 민간 주도 벤처확인위원회 밑그림?

지난달 출범한 혁신벤처단체협의회.
지난달 출범한 혁신벤처단체협의회.

지난달 닻을 올린 혁신벤처단체협의회가 향후 출범할 민간 벤처확인위원회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혁신벤처단체협의회는 벤처기업협회·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이노비즈협회)·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메인비즈협회)·한국벤처캐피탈협회·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한국여성벤처협회·IT여성기업인협회 등 7개 단체로 구성된 통합 기구다.

11일 혁신벤처단체협의회에 따르면 민간 벤처확인위원회 구성이 추진되면 협의회가 중심에 설 것으로 전망된다. 혁신 중소벤처기업을 대표하는 단체가 벤처확인 업무를 주도하는 셈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신설, 벤처확인제도 민간 이관과 맞물려 협의회를 출범한 이유기도 하다.

협의회 한 관계자는 “협의회는 혁신 중소벤처 기업 목소리를 대변하는 단체인 만큼 벤처확인제도가 민간 주도로 전환되면 핵심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간벤처확인위원회는 벤처확인제도가 민간 손에 넘어올 경우 벤처확인 최종 심사 업무를 맡게 된다. 벤처기업 확인 업무의 88%를 담당하던 기술보증기금은 벤처 추천기관으로 업무가 전환될 것으로 알려졌다.

벤처기업 확인제도 민간 이관 핵심은 기술보증기금 역할을 줄이고 민간 위원회 역할을 키우는 데 있다. 지금까지 벤처기업 확인제도는 기보를 비롯해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벤처캐피탈협회가 담당했다.

최수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도 최근 “벤처확인제도를 민간이 주도하도록 넘길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최 차관은 “내달 발표 예정인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도 민간에서 주도하도록 할 계획”이라면서 “정부에서는 이를 위해 추경예산 8000억원을 모태펀드에 반영했다”고 말했다.

민간 주도 벤처기업 확인은 3단계에 걸쳐 이뤄진다. 기보를 포함한 분야별 전문기관이 추천하고, 16~20개 전문심사기관이 기술력과 연구개발, 투자 등을 평가한다. 민간 위원으로 구성된 위원회는 추천과 평가 결과를 놓고 심사한다.

물론 협의회 참여 단체로만 위원회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분야별 전문기관 20여개 이상을 추천심사나 협업기관으로 참여시켜 공정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민간주도로 제도를 운영하되 공공기관이 가진 노하우도 활용한다는 복안이다.

유창선 성장기업부 기자 yuda@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