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교과서 등 교육환경 전환 시급한데, 우선순위 또 밀리나

내년 '2015개정 교육과정' 디지털교과서 정식 도입을 앞두고 빨간불이 켜졌다.

여당 내에서 비용 등을 이유로 문제를 제기했다. 디지털 세대 교육을 위해 교육환경 전환이 시급하지만 예산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교육부 산하기관 국정감사에서 인프라 구축 비용을 이유로 디지털교과서의 원점 재검토 의견을 냈다. 김 의원은 “디지털교과서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천문학적인 비용이 드는 사업을 지금 당장 급하게 추진해야 하는지 원점에서부터 검토해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상당수 교사가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시민단체 설문조사를 인용해 현장활용도가 낮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를 두고 한 교육 전문가는 “디지털교과서는 현재 연구학교에서만 사용돼 일선 현장 교사들이 아직 활용해보지 못한 것은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무선인터넷을 비롯한 인프라 구축은 디지털교과서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SW) 교육 등을 위해서도 필요한데 이 때문에 디지털교과서 도입이 늦춰져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디지털교과서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같은 시청각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학생의 이해도와 학업 몰입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기초연구단계를 거쳐 2007년 개발, 이후 연구학교를 통해 시범운영됐다.

2015개정 교육과정 디지털교과서는 초등학교 3~5학년과 중학교 1~3학년 사회·과학·영어, 고등학교 영어가 함께 도입된다. 내년부터는 초등 3~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시작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 디지털교과서를 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교과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증강현실(AR)·가상현실(VR)을 이용한 콘텐츠도 개발 중이다. 디지털교과서가 확산되면, 향후 교사가 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과도 연계한다. 맞춤형 교육 실현에 한발짝 다가간다.

디지털교과서 사업은 기대효과에도 비용과 학생의 모바일기기 사용 등에 대한 부정적 견해 때문에 더디게 진행됐다.

해외 주요 국가에서는 교육용 콘텐츠 오픈마켓까지 활성화됐다. 우리나라는 입시제도에 밀려 미래교육환경 조성에 관심이 낮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관계자는 “디지털교과서는 무선인터넷 환경에서 태블릿을 이용해 수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학교 현황에 따라 PC나 모바일기기를 활용할 수도 있고 교사만 기기를 사용해 학생에게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면서 “미래 교육환경 전환과 발전이 발목 잡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김병욱 의원실은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해도 인프라도 제대로 갖춰진 상태에서는 효과가 미미할 수밖에 없다”면서 “도서지역이나 장애인학교 등 효과가 검증된 지역부터 단계적으로 도입하면서 제도와 인프라를 갖추는 것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질의배경을 설명했다.

문보경 산업정책부(세종)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