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기가 인터넷 2018년 상용화···2022년 커버리지 50%로 확대

정부가 내년 10기가 인터넷 서비스 상용화와 활성화를 추진한다. 10기가 인터넷 시범서비스 중인 SK브로드밴드 엔지니어가 NG-PON2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정부가 내년 10기가 인터넷 서비스 상용화와 활성화를 추진한다. 10기가 인터넷 시범서비스 중인 SK브로드밴드 엔지니어가 NG-PON2 시스템을 점검하고 있다. 윤성혁기자 shyoon@etnews.com

정부가 2018년 말 10기가(Gbps) 인터넷을 상용화한다. 2022년에는 주요 도시 50%로 10기가 인터넷 커버리지를 확대한다. 현재 1기가 인터넷보다 10배 빠르지만 비용은 현재 수준으로 유지, 국민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본지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0기가 인터넷 서비스 활성화 전략(안)'을 수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략(안)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통신사업자와 협력, 내년 말 일부 지역에서 10기가 인터넷을 상용화한다. 통신사가 제공하는 10기가 인터넷 시범 서비스의 안정화와 고성능 단말 확산 등으로 상용화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10기가 시대 진입을 가속화한다. 이를 위해 △국산 기술·장비 개발 △시범 구축 전국 확산 △네트워크 균등 보급 △생태계 조성을 단계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내년 초 국산 기술·장비 개발에 착수해 공동주택, 학교, 병원,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가입자 유형별 10기가 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고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시범 서비스를 통해 국산 기술과 장비 안정성·신뢰성을 검증한다. 그다음 단계로 10기가 인터넷 커버리지를 전국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통신사·방송사의 10기가 인터넷 공동 구축으로 구축비 절감과 운영 효율화를 추진한다. 사업자별로 개별 구축하는 통신망을 공동 회선으로 활용하는 게 골자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한국토지주택공사(LH), KT, SK브로드밴드, CJ헬로가 진행하고 있는 '기가인터넷 공동 구축'과 같은 방식이다.

과기정통부는 '10기가 인터넷 상용화'라는 선언보다 '활성화'라는 내용의 의미가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국민이 부담 없이 10기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면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고 결론 내렸다.

과기정통부는 국내 기업의 기술·장비 개발을 10기가 인터넷 비용 인하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손꼽았다. 화웨이, 노키아 등 글로벌 기업이 10기가 인터넷 상용 장비로 국내 시장을 공략하는 만큼 국산 장비와의 경쟁을 통한 '가격 현실화'가 전제되지 않으면 사용료를 기가인터넷 수준으로 낮추기 어렵다는 것이다.

국내 장비업체가 장비를 개발하려면 매칭펀드 등을 통한 개발비용 지원, 초기 수요 창출, 생태계 조성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인식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통신사, 장비업체, 서비스 사업자 등으로 컨소시엄을 구축해 초기 수요 창출 유도와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한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가격 현실화를 통한 확산과 대중화는 2021~2022년으로 예상된다”면서 “초안이어서 더 많은 의견 수렴과 조정이 필요하다. 연내 국가 협의체를 거쳐 최종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 과제에 포함된 10기가 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 선도 기반이다.

이에 앞서 SK브로드밴드는 8월 서울, 경기도 안양 등지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KT도 연내 시범 서비스 착수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표〉10기가 인터넷 서비스 상용화·확산 계획

10기가 인터넷 2018년 상용화···2022년 커버리지 50%로 확대


안호천 통신방송 전문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