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논단]4차 산업혁명 선제 대응으로 제조업 혁신해야

[월요논단]4차 산업혁명 선제 대응으로 제조업 혁신해야

4차 산업혁명은 인류 발전의 또 다른 변곡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인공지능(AI), 로봇기술,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위해 정부는 지난달 11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첫 모임을 가졌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모든 산업 분야에서 과학기술력을 강화하고 혁신을 추진해 나간다는 기본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산업·경제 분야는 산업·서비스 지능화 혁신, 사회·제도 분야는 미래 사회 변화에 대한 선제 대응, 과학·기술 분야는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 강화가 주 내용이다.

인천도 이 같은 방향에 맞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미래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인천TP)는 지난해 초부터 제조업 중심으로 '인천 지역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안에 대한 정책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인천시와 함께 각 분야 전문가들로 '4차산업혁명선도추진위원회'를 구성, 지역에 필요한 대응 과제를 도출해 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있지만 성공 핵심 요소를 두 가지로 압축해 본다. '급격하고 매우 빠른 기술 변화'와 '인간의 중요성'이다.

4차 산업혁명을 통해 기술 측면에서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뇌과학 등 첨단 과학기술 발전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기업은 물론 산업 전체의 생산 효율성도 크게 증대되고 있다. 센서·데이터 기반 사업화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혁신 제품 및 새로운 서비스는 하루가 멀다 하고 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폭풍 발전, 기술 발전 이상으로 더욱 중요시해야 할 요소는 이 같은 기술을 다루는 '인간의 능력' 또는 '방식의 변화'를 강조하고 싶다.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사물과 사람들의 초연결성을 토대로 하고 있는 만큼 기계나 시스템 간 기술 통합과 함께 이를 발전 방향으로 다뤄 나가는 인간(조직) 간 긴밀한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업 내 스마트 팩토리 및 공장 간 연결, 기업 안팎의 스마트 공급망 운용, 계열사 간 공동 생산이나 IoT를 활용한 제조 기업 간 협업 등의 관계가 좋은 사례다.

메이커스페이스나 서비스·제조 통합 플랫폼 구축 산업 간 협업 등 앞에서 언급한 4차 산업혁명의 선진 우수 사례는 모두 기술·기계로 연결돼 있다. 핵심은 그 기반에 인간·조직 차원의 협업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인천TP도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에 선제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

중·장기 계획 아래 지속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출발했다. 그리고 나름의 성공 사례 창출을 위해 기존에 설정돼 있던 전략 산업에 이를 우선 적용하고, 그 대상을 점차 확대해 나가는 것이다.

인천시 8대 전략 산업 가운데 바이오, 자동차, 로봇 분야의 적용과 스마트 공장 확대 추진 등이 여기에 속한다.

바이오 산업은 송도국제도시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 의약이나 의료기기 발전 등과 연계한 대응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자동차 산업은 인천 지역 자동차부품 생산을 전기자동차, 무인자동차 등 첨단 자동차의 발전 추세에 맞춰 전환토록 하는 과제 도출이 시급하다.

로봇 산업은 현재 순차 조성되고 있는 로봇단지를 미래형 산업 융합 기지로 발전시켜 나가는 동시에 중소제조업에 대한 협동로봇 적용 확산에 우선 초점을 맞춰야 한다. 스마트 공장은 정부가 추진하는 외형 확대를 내실 있게 추진해 나가면서 점차 인천형 스마트 공장 모델을 개발, 적용하는 쪽으로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인천 지역 제조업은 산업단지 중심으로 기업이 밀집돼 있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생산성 증가율이 타 지역에 비해 떨어지긴 하지만 송도, 청라, 영종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지정학상 장점을 배경으로 신성장 이미지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는 긍정인 면도 있다.

인천의 이 같은 지역 장점을 살리는 한편 지역 기반 산업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최적의 대안은 발 빠른 4차 산업혁명을 통한 제조 혁신이다.

대한민국 역시 이 같은 성과 창출과 주요 제조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위한 지속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 과정에서 가용 가능한 혁신 역량을 연계,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끌어내야 한다.

자국 이익을 우선시하는 보호무역 등 지구촌에서의 치열한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정공법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싶다.

박윤배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원장 yb_icbp@ibitp.or.kr